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3·1운동 백년과 여성]②엄마의 편지…"내 아들 안중근, 삶을 구걸하지 말아라"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마리아, 사형 선고 아들 안중근에 "항소 포기"

"비겁하게 삶 구걸 말고 대의에 죽는 게 효도다"

조마리아, 면회 안 해…명주실로 짠 수의만 전달

안중근 결기, 어머니의 항소 포기 발언 등 영향

뉴시스

【서울=뉴시스】 조마리아와 안중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손정빈 기자 = 1910년 2월14일 뤼순 관동도독부 지방법원,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혐의를 받는 안중근에게 사형이 선고됐다. 이 소식은 국내에 머물던 어머니 조마리아게도 전해졌다. 조마리아는 안중근의 두 동생 정근과 공근을 급파했다. 두 사람의 손에는 어머니가 장남에게 전하는 편지가 들려있었다. 편지를 꺼내 읽은 안중근은 이내 충격에 빠진다.

"네가 나라를 위해 이에 이른즉 다른 마음 먹지 말고 죽으라. 옳은 일을 하고 받는 형(刑)이니, 비겁하게 삶을 구걸하지 말고 대의에 죽는 것이 어미에 대한 효도다."

곧 죽게 될 아들에게 조마리아가 한 말은 "그립다", "보고싶다"가 아니라 "죽으라"는 것이었다. '대의에 죽어서 나라를 살릴 것'을 당부하는 어머니의 결기에 항소를 고민했던 안중근은 곧장 마음을 바꿔먹었다. 죽음 앞에서 잠시나마 약해질 뻔했던 마음은 오히려 더욱 단단해졌다. 어머니의 편지를 읽은 안중근은 동생들과의 짧은 면회를 마치고 되려 편안한 표정으로 감옥소로 돌아갔다. 그렇게 안중근은 '항소 포기'로 마음을 굳혔다.

이 말은 아마도 우리 독립운동 역사를 통틀어 가장 뜨겁고도 슬픈 한 마디일 것이다. 어떤 어미가 아들에게 죽으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런데 조마리아는 장남 안중근에게 그렇게 했다.

전문가들은 이 말 자체가 독립운동이라고 본다. 오일환 의병정신선양회 회장(전 보훈교육원장)은 논문 '조마리아의 생애와 여성리더십'에서 "아들의 행동이 분명 국가를 위한 의거였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며 일본을 향한 참을 수 없는 분노의 표출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훗날 안중근의 순국은 물론 조마리아의 이같은 기개가 독립운동가들에게는 물론 일반 시민들에게도 전해지면서 1919년 '3·1운동' 등 독립을 향한 염원으로 이어졌다고 본다면 이또한 독립운동이라고 보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1909년 10월26일 안중근의 하얼빈 거사(巨事) 이후 일제는 조마리아는 물론 안중근의 동생 정근과 공근도 심문했고, 두 동생은 한 달 간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조마리아와 그 가족은 혐의점이 없었기에 풀려났지만, 일제는 '아들 교육을 잘못 시켰다'는 이유로 집요하게 조마리아를 괴롭힌 것으로 전해진다. 이때 조마리아는 일제에 이렇게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 아들이 나라 밖에서 무슨 일을 저질렀는지는 내 알 바 아니다. 그렇지만 이 나라 국민으로 태어나 나라의 일로 죽는 것은 국민 된 의무이다. 내 아들이 나라를 위해 죽는다면 나 역시 아들을 따라 죽을 따름이다."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암살 후 약 4개월이 지난 1910년 2월14일 뤼순 관동도독부 지방법원에서 열린 안중근에 대한 1심 선고심에서 사형이 떨어졌다. 조마리아는 분노했다. "이토가 많은 한국인을 죽였으니, 이토 한 사람을 죽인 것이 무슨 죄냐, 일본 재판소가 외국인 변호사를 거절한 것은 무지의 극치이다." 조마리아는 정근과 공근을 뤼순으로 급파해 '항소를 포기하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일제는 당시 안중근의 변호인 선임을 집요하게 방해했다. 당시 안중근 변호인을 자처한 러시아·영국인 변호사가 있었지만, 안중근은 한국인 변호사가 자신의 변호를 맡기를 원했다. 조마리아는 평양으로 가 독립운동가인 안병찬 변호사에게 아들의 변호를 요청했고, 안병찬이 이를 받아들였으나 일제는 일본 형법으로 일본 법정으로 진행되는 재판에 일본인 외에 외국인 변호사는 선임할 수 없다며 안중근의 변호인 선임을 방해했다. 이에 안중근의 변호는 일본 관선 변호인 미즈노 기치타로 등 2명이 맡게 된다.

안중근과 조마리아의 일화는 당시 언론에 의해서도 회자됐다. 국내 '대한매일신문'과 일제 '아사히신문' 등은 두 사람 관련 소식을 싣고 '시모시자'(是母是子)라고 했다. '그 어머니에 그 아들.'

뉴시스

【서울=뉴시스】 어머니 조마리아가 만든 수의를 입은 안중근 의사.


이 이야기는 일본인들에게도 적지 않은 충격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뤼순 고등법원장 히라이시 요시토는 수감된 안중근을 찾아가 항소할 것을 권했으나 거절했다. 변호사 기치타로 또한 감형받아보자고 설득했으나 안중근은 거부했다. "나는 처음부터 무죄요, 무죄인 나에게 감형을 운운하는 것은 치욕이다"라는 게 안중근의 답변이었다.

안중근의 간수였던 치바 사토시라는 인물 또한 안중근과 조마리아 일화에 탄복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사학자인 박옥윤 전 성신여대 명예교수가 '한국여성독립운동가'에 쓴 '안중근의사 어머니 조마리아의 항일구국적 생애'에는 사토시가 모자의 언행에 감동받아 안중근에게 평생 사과하며 살기로 결심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사토시는 눈을 감기 전 안중근이 보인 결기는 상당 부분 어머니의 '항소 포기 발언'과 관련이 있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1910년 3월26일 오전 10시4분, 안중근은 절명했다. 조마리아는 단 한 번도 아들을 면회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죽음을 앞둔 아들의 얼굴을 도저히 볼 수 없었기 때문이었던 걸로 풀이된다. 조마리아는 사형 집행 전날 정근과 공근을 다시 뤼순으로 보냈다. 그들의 손에는 조마리아가 보낸 명주실로 짠 하얀 수의(囚衣)가 들려있었다.

jb@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