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라돈침대 부실조사 드러나도 제보만 기다리는 정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5월 대진침대 라돈 사태 뒤, 기술표준원이 ‘제조사 49곳’ 조사

49곳 임의명단 불과, 그나마도 구두조사…기표원 “우린 전문성 없어”

정부, 주로 제보에 의존…최근 씰리침대 등 라돈 사태 멈추지 않아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대진침대의 ‘라돈 검출 파문’이 까사미아까지 이어진 뒤, 이달에도 씰리침대 라돈 검출 등 방사선 침구 문제가 그치지 않고 있다. 대진침대 파문 당시 정부 조사가 부실했던 사실이 지난해 잇달아 지적됐지만, 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온 탓이다.

17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와 국가기술표준원(기표원) 등 얘기를 종합하면, 지난해 5월 대진침대 라돈 사태 이후 방사선 침구류 조사는 총체적으로 부실하게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방사선에 대한 이해가 없는 기관이 침구류 조사를 맡았다. 해당 조사는 매트리스 제조사에 대한 조사와 라돈 발생 원료 물질인 모나자이트 추적 조사 등 두 갈래로 이뤄졌는데, 이 가운데 매트리스 제조사 조사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표원이 맡은 것이다. 기표원은 방사선 관련 전문성이 없다. 당시 조사를 맡은 기표원 담당 과장은 15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원안위 요청으로 지난해 5월11일부터 조사를 했다. 저희는 부처 협력 차원에서 원안위를 도왔다”고 말했다. 라돈 검출 등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데, 손이 부족해 도운 것이라는 설명이다.

조사 대상 선정과 조사 방식도 구멍이 컸다. 기표원은 매트리스 제조사 49곳을 조사했는데, 이는 침대협회와 가구협회로부터 임의로 받은 명단이었다. 전수조사가 아니었다. 최근 문제가 발생한 씰리침대는 이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조사 방식도 구두조사였다. 직접 장비를 이용해 방사선을 측정하는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매트리스 제조업체에 모나자이트를 사용했는지 등을 묻고 카탈로그 등에 음이온 광고를 했는지 등을 파악한 뒤 대표의 서명을 받는 것으로 조사가 마무리됐다. 조사는 10여일 만에 모두 끝났다. 기표원 과장은 “우리는 방사선에 대한 전문성이 없어 기기를 갖고 조사하지 못했다”며 “(사태가 진정된 뒤) 전수조사를 해야 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 뒤로도 전수조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안위 관계자는 “매트리스뿐만 아니라 침구류, 온수매트, 생리대 등 다양한 제품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이를 전부 사전 조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현재 소비자 제보를 통한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결국 지난해 8월 까사미아의 침구류인 토퍼 등에서 라돈이 검출됐고 이로부터 6개월이 지난 14일에도 씰리침대에서 라돈이 검출됐다. 원안위는 이 제품들에 대해 수거명령을 내렸다.

원안위의 또 다른 조사였던 모나자이트 사용 추적 조사도 허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원안위는 모나자이트 수입 경로를 쫓아 이를 유통·사용한 업체 66곳을 조사했다. 씰리침대도 이곳에서 원료를 받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원안위 조사에서는 파악되지 않았다. 원안위 관계자는 “현재 사용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