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단독 인터뷰] 금이빨·항공기까지 깔끔하게···3M '접착제' 기술 비결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단독 인터뷰]

존 바노베츠 3M CTO 국내 첫 인터뷰
중앙일보

항공기용 그래픽 필름을 붙인 대한항공 B777-300ER 여객기의 모습. 그래픽 필름을 붙이는 데에는 3M의 접착 기술이 활용된다. 사진 대한항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입 속에 들어가는 보철물과 항공기용 그래픽 필름은 전혀 다른 제품이다. 공기 저항을 줄이고, 항공사의 로고 등을 항공기 위에 입히는 그래픽 필름은 수만 미터 상공, 영하 40~50℃를 넘나드는 혹독한 환경에도 들뜨거나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두 제품엔 결정적인 공통점이 있다. 두 제품 모두 3M의 접착 기술이 들어간다. ‘접착제’ 분야의 원천 기술을 가진 3M이 자사 ‘접착제’의 적용 범위를 넓힌 것이다. 덕분에 3M은 전 세계 항공기 래핑(wrapping)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항공기 래핑엔 대당 1억원 정도가 든다.

문구 용품 ‘포스트 잇(Post it)’으로 유명한 3M은 소비재는 물론 의학과 헬스케어, 전기 및 에너지 사업을 선도하는 ‘혁신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매출은 317억 달러(2017년 기준, 약 35조6500억원), 보유 특허는 11만2403개(같은 해 7월 기준)에 달한다.

보유 특허 11만개, 혁신 비결은
지난달 29일 3M의 혁신 비결에 대해 이 회사 존 바노베츠(사진) 수석부사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만나 물었다. 인터뷰는 서울 여의도 한국3M 사무실에서 진행됐다. 바노베츠 CTO의 한국 언론 인터뷰는 중앙일보가 처음이다. 미국 스탠포드대 화학 박사이면서 2m가 넘는 장신인 그는 한파가 몰아친 서울 날씨에 대해 “봄날 같이 선선하고 좋다”며 말문을 열었다. 3M 미국 본사는 미국에서도 추운 것으로 유명한 북부 미네소타주 메이플우드에 위치해 있다.

중앙일보

세계 최고의 혁신기업으로 꼽히는 3M의 존 바노베츠 수석부사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추운 날씨로 유명한 미국 미네소타주(州) 출신답게 서울의 겨울날씨에 대해 "봄날같다"며 웃었다. 3M은 미네소타 채광&제조회사(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의 약자다. 사진 3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세계 최고의 혁신기업으로 꼽히는 3M의 존 바노베츠 수석부사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추운 날씨로 유명한 미국 미네소타주(州) 출신답게 서울의 겨울날씨에 대해 "봄날같다"며 웃었다. 3M은 미네소타 채광&제조회사(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의 약자다. 사진 3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혁신은 기존 기술 재활용서 출발
그는 혁신을 ‘전혀 새로운 무엇’이 아니라 ‘기존의 것을 재활용하거나 새롭게 변용한 것’으로 규정했다.

바노베츠 CTO는 “혁신을 ‘전혀 새로운 무언가’로 생각하면 어렵지만, 기존에 확보한 제품과 기술을 혼용하는 것 만으로도 충분히 새로운 제품이 나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3M은 지속적인 혁신을 위해 접착·나노·세라믹·미세변형 등 46가지 원천기술을 토대로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 낸다. 금이빨 접합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래핑 기술이 대표적인 예다. 그는 “접착제 기술은 최신 기기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분야에도 적용된다”며 “여러 장의 필름을 흔적 없이 깔끔하게 붙인다는 점에서 접착 기술의 일종이기 때문”이라고 설명을 이어갔다. 탄탄한 기본 기술을 토대로 제품군을 늘려간 덕에 3M은 매년 1000개 이상의 신제품을 내놓는다. 1902년 회사가 설립된 이래 현재까지 6만5000여 종의 제품을 출시했다. 덕분에 전체 매출 중 포스트 잇 같은 소비재의 비중은 15%가 채 안된다.

중앙일보

3M이 보유한 46가지 원천기술들. 화학의 주기율표처럼 형상화했다. 사진 3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기업과 협업은 기본
혁신을 위해선 다른 기업과도 과감히 힘을 합친다. 혹시라도 모를 기술 유출을 우려해 다른 기업과 협업을 꺼리는 우리네 풍토와는 다른 모습이다. 한 예로 3M은 최근 4차 산업 솔루션 회사인 에크하르트와 함께 ‘로봇 기반 자동화 테이프 부착 시스템(이하 3M ATS)’을 개발했다. 에크하르트의 자동화 로봇 기술과, 3M의 접착 기술을 합친 것이다. 두 회사는 이를 무기로 자동차를 비롯한 산업재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간다는 목표다.

스마트폰 안테나 저항도 줄인다
삼성전자나 LG전자 같은 한국 기업과도 활발히 협력한다. 그가 이번에 내한한 것도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안테나 코일의 저항을 기존보다 20% 가량 줄인 신기술을 삼성전자 등에 소개하기 위해서다. 역시 3M이 가진 코팅 기술을 바탕으로 외부를 매끄럽게 쌓아 저항을 줄였다. 그는 “삼성이나 LG처럼 강력한 제조업 기반과 원천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조금 더 유연한 사고를 한다면 그 효과는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15%룰’, 구글도 배워간 혁신 노하우
지속적인 혁신은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3M 전체 매출의 30% 이상이 최근 5년 내 출시된 제품에서 나온다. 제품 연구개발에 대한 노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NPVI(New Product Vitality Index)라는 개념도 있다. 기존 기술을 활용해 얼만큼 새 제품을 내는지 측정하는 척도다. 한 해 연구개발(R&D) 투자는 매출의 6%를 넘긴다.

조직 내부엔 혁신을 장려하는 분위기도 강하다. 대표적인 게 '15%룰'이다. 업무시간의 15%는 직원 개개인이 자신만의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사용토록 했다. 그 시간 동안 무엇을 하든 회사는 간섭하지 않는다. 이 원칙은 1949년부터 지켜져 오고 있다. 바노베츠 CTO는 “구글의 20%룰은 3M을 벤치마킹한 결과”라고 소개했다. 대신 직원 개개인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비용 등은 직원들로 구성된 챕터(Chapters)를 통해 지원한다. 누굴 지원하는지 등도 모두 직원들이 결정한다. 아이디어에 따라 5000 달러(563만원)~10만 달러(1억1260만원)까지 주어진다.

실패는 다음 연구의 밑자료
물론 실패해도 별다른 처벌은 없다. “연구개발 관점에서는 실패가 아니라 다음 연구의 밑자료이기 때문”이란 설명이 이어졌다. 최고 능력을 보여준 이들에게는 ‘칼튼 소사이어티’ 회원 자격을 준다. 3M판 '명예의 전당'이다. 전 세계 9만명이 넘는 3M 직원 중 칼튼 소사이어티 회원은 200명이 채 안된다.

다양성 부족이 한국기업 단점
인터뷰 말미 바노베츠 CTO에게 혁신에 목말라 하는 한국 기업들에 줄 조언은 없는지 물었다. 그는 “한국 기업들은 대단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지구 전체를 아우르는 다양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하다”라며 “혁신이란 결국 한 분야나 특정 지역에서 나오는 게 아닌 것인 만큼 다양한 지역의 여러 아이디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센터와 디자인센터 등을 지구촌 곳곳에 더 흩어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retali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