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탄핵 2년 만에…박근혜 카드, 한국당 당권 경쟁 ‘최대 변수’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빅3’ 주자의 얽히고설킨 셈법

홍준표 ‘박 껴안기’

“탄핵도 용서도 국민 뜻…석방해야”

박 출당 외치다 TK 당원 붙잡기로

오세훈 ‘거리 두기’

“박 극복해야 보수정치 살아나”

‘개혁보수’로 중도층 공략 차별화

황교안 ‘동정론에 기대기’

“박, 얼마나 힘드신 분이냐” 이어

“법에도 눈물이 있다” 석방에 무게

책임당원 절반이 영남에 집중

“도로 박근혜당 가나” 당내 우려도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27 전당대회를 앞둔 자유한국당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표심’을 가늠할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당대표 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나다순) 등 주요 후보가 ‘박근혜 석방’ 또는 ‘박근혜 극복’을 앞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자유한국당의 ‘금기어’였던 박 전 대통령 석방 주장을 가장 먼저 공론화한 이는 홍준표 전 대표다. 그는 설 연휴 기간인 3일과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박 전 대통령을 석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글을 올렸다. “탄핵도 국민들의 뜻이고, 용서도 국민들의 뜻”(4일)이라는 것이다. 홍 전 대표는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박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면서 박 전 대통령 지지층의 반감을 산 바 있다. 홍 전 대표의 선거운동을 돕고 있는 강연재 변호사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해 홍 전 대표는 대선 때 관훈토론회에서도 ‘탄핵 사유가 아니다’ ‘형사재판이 불공정하다’고 줄곧 밝혀왔다. 석방도 그런 일련의 주장”이라고 밝혔다.

황 전 총리도 7일 한 언론과 한 인터뷰에서 “법에도 눈물이 있다.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법 집행이 필요하다”며 박 전 대통령 석방에 무게를 실었다. 박근혜 정부의 법무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지낸 그는 “가슴팍에 박근혜 석자가 새겨져 있다”(오세훈)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친박근혜 쪽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입당 뒤 첫 대구 방문 땐 “(박 전 대통령이) 얼마나 힘드신 분이냐. 나라를 위해 얼마나 헌신해 오셨느냐”고 말했다.

반면, 이날 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전 시장은 “박근혜를 극복해야 보수정치가 부활할 수 있다”며 박 전 대통령과의 ‘결별’을 주장했다. 그는 이날 출마선언식에서 “대통령으로서 박근혜는 국민들과 당원들의 바람에 큰 실망을 안겨드린 게 사실이다. 국민이 위임한 권력을 헌법적 가치에 부응하게 사용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박근혜 이름 세 글자를 표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의지하지 말아야 한다”며 “사람 대신 보수의 새로운 가치를 굳건히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대통령과 선을 긋고 중도층을 공략하는 ‘개혁보수’로 차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지금까지 금기시됐던 ‘박근혜 이슈’가 전당대회를 앞두고 되살아나는 것은, 투표권을 가진 책임당원의 ‘표심’이 박 전 대통령에게 우호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와 최근 잇단 악재로 정부·여당의 지지율이 하락하는 것도 ‘동정론’이 힘을 얻기 좋은 여건이라는 평가다. 경북권 한 의원은 “책임당원 33만여명 가운데 대구·경북이 10만명에 육박하고, 부산·울산·경남이 7만여명이다. 영남권 표심이 당내 선거에 큰 영향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전당대회 후보들의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방문을 비롯한 ‘티케이행’도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국민에게 탄핵당한 박 전 대통령이 다시 자유한국당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는 것에 대해 당이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는 ‘한탄’도 나온다. 한국당의 한 관계자는 “결국 ‘도로 박근혜’ 이야기로 흘러가고 있지 않느냐. 이러면 조만간 탄핵 찬반론으로 흐르게 될 것”이라며 “당내에선 먹힐지 몰라도, 미래를 보여주지 못하고는 총선에서 국민의 마음을 사로잡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