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북·미 정보라인, 물밑 조율…'상응조치' 타협점 찾은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 외교안보라인도 북·미회담 결정과정 참여"

청와대, 3·1절 답방설에 "논의된 적 없다"

[앵커]

저희들의 취재에 따르면 청와대를 포함한 우리 외교·안보 라인도 북·미 정상회담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취재 기자를 연결하겠습니다.

이서준 기자가 나가있습니다. 북한과 미국, 정보당국간의 접촉이 이어져왔다고요.


[기자]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미 중앙정보국 CIA와 북 통일전선부 간 물밑접촉을 통해 입장차를 좁혀왔다고 했습니다.

1차 북·미 정상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정보기관 라인이 활발하게 돌아간 것입니다.

[앵커]

장소는 이미 상당히 좁혀진 것 같은데 정상회담 의제에도 어느 정도 합의점이 나온 것인가요?

[기자]

북한은 동창리 시험장과 영변 핵시설 폐기 그리고 검증 등을 평양 정상회담에서 조건부 카드로 내놨습니다.

그에 대한 미국의 상응조치로 무엇을 주고받을지 좁혀지지가 않아서 지난해 북·미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부분에서 어느 정도 타협점을 찾은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지난번에 나오기로는 북한 ICBM의 파괴 그리고 그에 따른 부분적인 경제제재 해제 이런 것들이 얘기가 나왔었는데 혹시 타협점이라는 것이 그 정도인가요. 아니면 다른 것이 알려진 것이 있나요?

[기자]

현재 거론되고 있는 것들은 미국의 연락사무소를 북한에 설치하는 한 또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거론한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재개 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1차 정상회담 때를 되돌아보면 북·미 고위급회담과 그리고 물밑접촉을 통해 정상회담 직전까지 계속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방금 얘기하기를 미국 쪽이 북한에 제공하는 조건만 얘기를 했는데 북한이 해야 할 행동에 대해서는 의제상에 혹시 더 타결될 것이 있다는 얘기는 안 들립니까?

[기자]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평양 정상회담에서 제시를 한 또 영변 핵시설, 동창리 핵시설에 대한 폐기 검증 등이 일단 거론되고요.

ICBM에 대해서는 정부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정상회담 장소와 날짜는 이제 곧 공개가 된다면서요. 빠르면 금주 말에, 금주 말이라고 해 봐야 내일밖에 없습니다, 모레하고요.

[기자]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미 고위급회담이 계획대로 잘 풀리면 내일이나 모레쯤 정상회담 날짜와 장소가 공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베트남에서 2월 중순 또는 하순에 열리는 것이 현재로서는 유력해 보입니다.

[앵커]

그렇게 되면 그게 이제 잘 되면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추진이 된다고 듣고 있는데 3.1절에 맞춰서 답방한다는 보도들은 이미 나왔습니다. 그건 어떻게 얘기가 됩니까?

[기자]

청와대는 3·1절 답방은 논의된 적이 전혀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일단은 북·미 정상회담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고 그 결과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즉 3·1절을 전후로 한 답방 카드는 살아 있지만 아직 확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서준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