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에… 번호이동 시장 ‘꽁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이어진 기자]지난해 번호이동건수가 약 566만건을 기록 전년대비 19.3% 급감했다. 지난해 월평균 번호이동건수는 47만여건으로 13년만에 최저치다.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인해 소모적 보조금 경쟁 대신 요금제 등 서비스 경쟁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의 번호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동통신3사와 알뜰폰을 포함한 번호이동건수는 566만601건으로 전년대비 19.3% 급감했다. 월평균 번호이동건수는 47만1717건으로 지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50만건 밑으로 떨어졌다.

각 사별 번호이동건수를 살펴보면 SK텔레콤의 경우 번호이동건수가 191만4398건으로 전년대비 22.5% 줄었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138만7468건, 135만8818건으로 전년대비 20.6%, 19.8% 줄었다.

알뜰폰의 지난해 번호이동건수는 99만9917건으로 전년대비 9.2% 감소했다. 2013년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100만건을 하회했다.

지난해 번호이동시장이 얼어붙은 것은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른 이동통신업계 경쟁의 패러다임이 전환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번호이동시장은 보조금 경쟁에 따라 엇갈린다. 불법 보조금 경쟁이 많이 벌어지면 벌어질수록 번호이동시장을 활성화되며 보조금 경쟁이 줄어들면 번호이동건수가 줄어든다.

이동통신사와 제조사는 대리점 및 판매점 등 유통점에 휴대폰과 이동통신 서비스 판매 시 일정수준의 리베이트를 지급한다. 리베이트 금액이 많으면 많을수록 이 중 일부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이른바 ‘보조금 대란’이 발생할 공산이 높다. 보조금 대란 발생 시 번호이동건수는 치솟는다.

지난해 이동통신3사 모두 보조금 경쟁을 지양했다. 소모적 보조금 경쟁을 벌이지 않은 주된 이유는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이다. 정부는 25% 요금할인, 보편요금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을 펼쳤다.

이 중 25% 요금할인 제도는 지난 2017년 9월 도입됐다. 요금할인은 온전히 이동통신사들이 부담하는 비용이다. 요금할인이 높아지면 질수록 실적에 부담이 가기 때문에 보조금에 쓰이는 마케팅비 출혈을 감내하기 쉽지 않다.

보편요금제의 경우 법제화가 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3사가 이에 대응하는 요금제들을 선제적으로 내놓으면서 사실상 도입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동통신사들은 지난해 요금제 경쟁을 통해 LTE에서도 완전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시대를 열었고 데이터 제공량 또한 대폭 확대했다. 소모적 보조금 경쟁 대신 요금제 등 서비스 경쟁으로 이동통신 패러다임이 전환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번호이동시장은 소비자들에게 지급하는 보조금의 수준에 달려 있다”면서 “지난해 초부터 소모적 보조금 경쟁 대신 서비스 경쟁을 벌여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돼 번호이동이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이어진 기자 lej@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