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3기 신도시] GTX 빨라야 2023년 말 완공…초기 입주민 불편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1년 입주시 최소 2년 기다려야 광역교통망 혜택…왕숙지구는 6년 소요

연합뉴스

3기 신도시 입지와 교통개선 대책 발표하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19일 3기 신도시 계획을 발표하면서 교통대책도 함께 내놨지만, 3기 신도시 초기 입주민들은 상당 기간 교통난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3기 신도시가 크게 의존하는 교통망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완공이 입주보다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GTX 3개 노선 중 가장 사업 진행이 빠른 GTX-A 노선 개통은 빨라야 2023년 말이다. 하지만, 정부가 이날 발표한 3기 신도시 공급은 2021년부터 시작된다.

남양주·하남·인천 계양에 신도시, 과천에도 중규모 택지 조성 / 연합뉴스 (Yonhapnews)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3기 신도시를) GTX 등 광역교통망을 충분히 갖춰 서울 도심까지 30분 내 출퇴근이 가능한 도시로 조성하겠다"면서 GTX로 대표되는 광역교통 중추망을 조기에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GTX는 지하 40㎞ 대심도를 최고 시속 180㎞로 운행하는 고속 지하철이다.

수도권과 서울을 잇는 광역교통수단으로, 기존보다 이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주기 때문에 2·3기 신도시 핵심 교통망으로 꼽힌다.

이날 정부 발표는 그동안 더디게 진행되던 GTX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로 받아들여 지지만 정부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되더라고 상당한 시간이 걸려 3기 신도시 입주 시기에 맞출 수 있을지 우려가 제기된다.

GTX 3개 노선 가운데 가장 사업 속도가 빠른 GTX-A노선(파주 운정∼화성 동탄 83.1㎞)은 연내 착공이 목표다.

연말까지 20일 남짓 남았지만, 국토부는 사업실시계획 승인 등 법적 착공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이를 추진 중이다.

GTX-A노선은 2014년 2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4년이 넘게 지나서야 첫 삽을 뜨는 상황이다.

국토부는 이르면 2023년 말 GTX-A노선이 완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GTX-C노선(양주 덕정∼수원 74.2㎞)은 최근에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정부는 이날 내년 초에 GTX-C노선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교통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토지보상심사 등 절차를 거쳐야 해 완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국토부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GTX-C노선의 착공은 2021년, 개통은 2026년 가능할 전망이다.

GTX-B노선(송도∼서울역∼마석 80㎞)은 아직 예타 문턱도 넘지 못했다. 국토부는 내년 말까지 B노선 예타를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그렇더라도 C노선보다 사업 진행이 딱 1년 정도 늦은 B노선은 빨라야 2022년 착공, 2027년 개통되는 셈이다.

3기 신도시 대규모 택지 4곳 중 남양주 왕숙지구는 GTX-B노선, 과천지구는 GTX-C노선에 기대고 있다.

국토부는 이날 소규모 택지는 2020년부터, 대·중규모 택지는 2021년부터 연차적으로 주택이 공급된다고 소개했다.

2021년 입주하는 주민의 경우 산술적으로 최소 2년을 기다려야 광역교통망의 혜택을 보게 되는 것이다.

왕숙지구의 경우 GTX-B노선 개통을 기다리려면 2021년 입주자 기준으로 6년이 걸리는 셈이다.

국토부가 이날 발표한 신안산선 연장, 계양∼강화 고속도로 건설, 별내선 연장, 방화∼김포 한강선 건설, 위례 트램 등 교통망 확충 계획도 지자체 협의나 예타, 기본계획 착수 등 절차가 남아있어 실제 완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신도시 입주는 2021년에 모두 완료되는 것이 아니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며 "입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교통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중추망 조기 구축 및 교통망 효율성 제고 계획
[국토교통부 제공]



dkk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