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카카오 카풀 논란]우버에 승리한 日택시…혁신이 '비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버가 고전하는 日

광고주가 돈 내는 공짜택시 등장

결제수단 다양, 할인 이벤트 활발

이데일리

△일본 택시 배차앱 ‘MOV’를 런칭한 DeNA가 지난 5일부터 도쿄에서 운행하기 시작한 ‘0엔 택시’. 택시 외면은 물론, 내장까지 하나의 광고판으로 운영한다. [사진=Dena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택시값이 비싸기로 유명한 일본에서 ‘0엔 택시’가 등장했다. 닛신식품의 히트상품 ‘돈베이(どん兵衛) 라면’을 콘셉트로 택시 겉면은 물론 택시 지붕의 표시등, 시트까지 차량 전체를 움직이는 광고판으로 만들었다. 광고주가 택시요금을 부담하기 때문에 승객들은 무료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게임·엔터테이먼트·전자상거래 기업인 DeNA가 지난 5일 택시 배차 서비스 ‘MOV’를 내놓으면서 전개한 한시적 마케팅이지만 택시업계의 새로운 수익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DeNA는 앞으로도 다양한 사업자와 제휴해 0엔 택시는 비롯한 다양한 택시 서비스를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음식점 예약시간에 맞춰 집 앞까지 택시를 보내준다거나 근무 스케쥴에 맞춰 배차를 해주는 시스템, 통근·통학 배차 시스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카지마 히로시 DeNA 집행임원은 “택시를 이용하지 않는 계층을 늘려나가면 택시사업자는 안정적으로 수입을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아직 개인차량을 이용한 승차공유 서비스가 금지돼 있다. 따라서 미국의 우버, 중국의 디디 등 기업이 진출한 사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 배차 서비스다. 얼핏 보면 우리나라 카카오택시 등과 비슷하지만 택시회사가 적극적으로 이 시장에 뛰어들어 택시 산업의 체질 개선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2016년 일본 택시업계와 정부는 2016년 승차공유 문제대책 특별위원회를 만들고 11가지 항목의 대책안을 발표했다. 가장 첫 시도가 단거리 손님을 위한 기본요금 인하다. 기본요금 체제를 2km당 730엔에서 1.052km당 410엔으로 바꾸고 가산운임도 280m 90엔에서 237m마다 80엔으로 변경했다. 즉, 1.7km 이하는 예전보다 더 싸고 6.5km 더 비싸졌다. 대중교통이 잘 돼 있는 일본의 특성상 단거리 손님이 많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 결과 대형택시 4사의 반년 간 단거리 승차횟수가 예년과 비교해 2배 늘었다.

택시업계들은 자체적인 앱을 개발해 고객들을 끌어모았다. 택시 10대 중 3대가 사용하고 있는 ‘전국택시’ 앱은 일본 최대 택시사업자인 ‘일본교통’이 운영하고 있다.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미리 요금을 낼 수도 있고 신용카드나 구글페이 등 결제수단도 다양하다. 할인이벤트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서비스 개선을 위한 합종연횡도 활발하다. 올해 7월부터 전국택시앱에서는 일본교통은 물론 ‘도쿄무센’ 차량도 호출할 수 있게 됐다. 손님들이 이용할 수 있는 차량대수가 2배 넘게 늘어난 것이다. 소니는 택시회사 5곳과 합작설립한 ‘민나노택시’를 만들었다. 소니의 AI기술을 적용, 날씨 등 외부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짧은 시간 내에 고객에게 차량을 배치하는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MOV 역시 DeNA 외에도 가나가와현 택시협회와 다이이치 교통산업, 도토 자동차 등이 참여하고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을 목표로 ‘합승택시’ 상용화를 위한 실증실험도 한창 진행 중이다. 앱을 통해 같은 방향으로 가는 이용자들을 모아 택시에 합승하고 인공지능(AI)이 최적의 이동루트를 도출해 모두가 납득할 수 있게 요금을 분배하는 시스템이다.

일본택시산업의 혁신에는 일본시장이 영원히 승차공유 시장의 ‘무풍지대’일 수는 없다는 위기감이 깔려있다. 승차공유 시장이 개방되면서 다른 나라 택시업계가 겪은 어려움을 관찰하고 같은 일이 일본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택시업계의 체질을 미리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이같은 시도는 승차공유 시스템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다른 나라에도 모델이 되고 있다. 베트남 하노이의 가장 큰 택시회사 3곳은 새로운 브랜드 ‘G7’를 런칭했다. 동남아시아권 승차공유서비스 회사인 그랩(Grab)보다 낮은 운임을 제공하며 신차 구매는 물론, 서비스 교육도 실시하면서 현지인은 물론 외국인에게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고객에게 중요한 것은 택시냐, 승차공유서비스냐가 아니라 합리적인 가격과 친절한 서비스라는 것에 주목한 결과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