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7 (수)

11월 취업자, 10만명대 회복했지만…고용지표 ‘불안한 반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취업자 감소폭 둔화가 큰 영향

제조업 일자리 더 줄고…일용직 늘어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신규 취업자 수가 5개월 만에 10만명대를 회복했지만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 폭 둔화, 일용직 증가 등이 영향을 줬다는 점에서 불안한 반등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양질의 일자리 수가 늘었다기보다 고용 상황이 불안한 도·소매업 및 숙박·음식점업, 일용직,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분야의 취업자 수가 늘어난 것이 고용지표 호전의 주된 이유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괜찮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분야의 일자리 감소 폭은 확대돼 지난달 지표만 가지고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고 예단하긴 어렵다는 지적이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취업자 증가 폭은 16만5000명으로 5개월 만에 10만명대의 벽을 넘었다. 올해 1월에 이어 최근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6월 10만6000명을 기록한 이후 7월 5000명, 8월 3000명, 9월 4만5000명, 10월 6만4000명으로 4개월 연속 10만명을 밑돌았다. 하반기로 갈수록 취업자 수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지난해 월평균 취업자 증가 폭(32만5000명)에는 못 미치고 있다.

◆도·소매, 음식·숙박업 일자리 감소 폭 둔화가 직접 요인= 이 같은 취업자 수 증가는 일회성 소매 행사, 도·소매업 및 숙박·음식점업의 일자리 감소 폭 축소, 일용직 증가 등이 주된 요인이라는 점에서 불안한 반등일 가능성이 크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끈 주요 업종으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을 꼽으며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취업자 수가 10월에는 전달 대비 20만명 가까이 감소했는데 지난달에는 13만명 정도 줄면서 7만명 정도 차이가 났다”며 “이 분야 감소 폭이 둔화된 것이 취업자 수 증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실제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고용이 감소했던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의 취업자 감소 폭은 지난 10월 19만6000명에서 지난달 12만8000명으로 7만명 가까이 감소 폭이 둔화됐다. 서비스업 일자리의 대부분이 창출되는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에서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 것이 아니라 취업자 감소 폭이 둔화되면서 일자리 증가로 이어졌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 분야 일자리 증가가 소매 관련 행사 증가, 관광객 증가 등의 일회적 요인 때문이라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고용 상황이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고용창출력이 큰 제조업의 경우 일자리가 더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 증감은 지난 3월 1만5000명의 증가 폭을 기록한 이후 8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이번 달 제조업 분야 취업자는 9만1000명이 줄어 직전 달(-4만5000명)보다 감소 폭이 더 확대됐다.

제조업 일자리는 줄고 일용직은 늘어= 상용직 증가 폭은 3개월 연속 30만명대를 유지했으나 임시 근로자는 11만6000명이 줄었다. 상대적으로 불안한 일자리로 불리는 일용직은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일용직 근로자는 2만1000명 증가하며 지난해 10월(1만6000명)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수주 등 건설 지표가 호전되면서 건설업 중심 일용직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상용직 수는 큰 변화가 없는데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직 근로자만 늘어 일자리 불안정성이 더 심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더구나 한창 일할 나이인 20대 청년 실업률과 50대 중·장년 층의 실업률은 여전히 높다. 청년 실업률은 다소 감소했지만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을 나타내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확장실업률)는 21.6%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40대(-0.3%포인트), 50대(-0.5%포인트) 등 중년층 고용률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달 고용동향 지표만 보고 고용 상황이 호전됐다거나 앞으로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받는 분야에서 고용이 줄다가 덜 줄고 공공일자리 수가 포함되면서 일자리 수는 늘어났다. 하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호전됐다고 평가하기 어렵다”며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이 10.9%에 달하기 때문에 그 영향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비가 오다 잠깐 멈춘 상황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얘기다.

세종=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