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핵연료 처분' 등 원자력 안전기술에 8년간 '6700억' 투입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10일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 발표

뉴스1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18.4.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사용후핵연료 발생부터 처분·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해 원자력 안전기술 분야에 6700억원을 투입한다. 이번 정부에서 원자력 비중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청정에너지 비중을 높인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앞으로 60년은 더 운영될 국내 가동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마련한 방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2019~2025)을 수립·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Δ안전 극대화 Δ역량 활용 Δ혁신 촉진 Δ기반구축 등 4대 전략을 중심으로 한다. 지금까지는 발전산업 중심으로 역량을 확보했으나 앞으로는 안전을 대비한 방향으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이다.

안전극대화 부문은 '향후 60년간 국내 원전의 안심 운영 지원'을 목표로 한다. 과기정통부가 국내 원전 운영 최소 60년으로 보고 있는 이유는 신고리 5·6호기를 포함해, 기존에 가동되거나 건설 중인 원전의 운용연장을 고려하지 않는 수치다. 이 부문에서는 지진·화재 등 재해로 인해 원자력 시설에서 대규모 방사선 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한다. 핵연료 손상 방지, 사고진행 자동차단 등에 대한 기술 연구개발에도 나선다.

중대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협요인을 정밀 분석·예방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중대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도 피해를 차단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또 사용후핵연료의 정밀분석·평가 등 취급기술과 운반·저장 기술을 개발한다. 기존 처분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는 대안기술을 포함한 처분능력을 확보해 발생부터 처분까지 전주기적 안전관리 역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역량 활용' 부문에서는 정보통신(IT)기술을 활용해 원전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다. 또 국내 우수한 평가·검증 기술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등 신뢰할 수 있는 안전성 평가역량을 확보한다. 계산과학·슈퍼컴퓨팅 기술로 대규모 실험시설 없이도 원전 안전성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가상원자로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혁신 촉진' 부문에서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등과 소재·센싱 등 첨단기술 역량을 접목·활용해 원자력 안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다. 무인화·지능화 등 첨단기술 분야별로 역량 있는 국내·외 연구기관과 상시적으로 교류·협력한다. 융합 허브로 '원자력 첨단융합 연구실'을 설치하고 2개 분야의 프로젝트를 시범 추진한다. '기반구축' 부문에서는 분야·부처·기관·국가 간 연구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고 연구 인프라와 전문인력을 확보한다.

이같은 방안에 과기정통부는 2025년까지 6740억원을 투입한다. 오는 2019년 560억890만원, 2020년 582억9600만원 등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으로 해마다 점차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번 안전 분야 방안과 더불어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의 방사선 활용확대·산업화, 해체기술 개발 및 미래원자력 전문인력 양성 등의 부문별 이행전략도 마련하겠다"면서 " 미래를 대비하는 원자력 기술개발을 통해 국민안전과 혁신성장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1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omangchoi@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