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극단으로 내몰리는 원주민…반복되는 '재개발 비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서울 용산 재개발 지역에서 철거민과 경찰 등 6명이 숨진 용산 참사가 벌어진 지 벌써 10년이 다 돼 갑니다. 하지만 재개발 재건축을 둘러싼 갈등은 계속되고 있고 내몰린 주민들이 목숨을 끊는 일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수진 기자입니다.


[기자]

창문은 깨지고 대문은 굳게 잠겼습니다.

이곳에 살던 월세 세입자 박 씨는 지난 4일 양화대교와 성산대교 사이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재건축 지역이라 세입자가 보상받을 법적 근거가 없었고 적은 돈으로는 이사할 곳을 찾지 못했습니다.

강제집행을 당한 후 석 달간 빈집을 전전하다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유서에는 나이 든 어머니라도 임대주택에 들어가게 해달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지난 2월, 장위 4구역에서도 공장 세입자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보상금과 보증금을 모두 합쳐도 공장을 옮겨 사업을 시작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생계를 잃은 가장은 설 연휴가 끝난 지 일주일 만에 극단적인 선택을 했습니다.

강제수용으로 마을을 떠나거나 재산 피해를 본 사람은 토지 소유자의 가족과 세입자를 포함해 지난 10년간 288만명, 한 해 평균 32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마저도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자료를 토대로 한 추정치일 뿐 전국을 전수 조사한 공식 통계는 없습니다.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할 때는 공익성이 검증돼야 하는데 국토부의 공익성 판정을 받은 사업은 지난 5년간 50건에 불과했습니다.

그 사이 비극은 반복됐습니다.

[박 씨 어머니/아현2 재건축지역 세입자 : 나의 보물 나의 전부예요, 우리 아들이. 그냥 걔만 살려주면 돼. 다 필요 없어요.]

재개발 재건축으로 인한 원주민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해서는 강제수용 피해 현황을 전수 조사해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사업 결정 과정에서 공익성 검증이 더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영상디자인 : 강아람)

이수진, 김태헌, 박영웅, 최다희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