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르포]"中 단체관광객 버스 꼬리 물었다"…명동 면세점, 오후도 '결제 대기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세계, 현대백화점 면세점 이번주 800여명 방문…신라면세에도 현대차 중국 영업사원 500여명 방문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에서 한국 관광 상품 한 때 등장…일부 사이트에선 여전히 관광 상품 판매
"중국인 한국 관광 단체비자·전세기·크루즈 풀리는 것 이제 시간 문제"…롯데 언제 풀리느냐가 관건
아시아경제

5일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1층 정문 앞에서 중국인 단체관광객들이 버스에서 내리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15일 오후 4시40분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1층. '관광버스 전용 승ㆍ하차장 5분 정차만 허용' 푯말 옆에서 주차관리인이 버스 행렬을 단속하고 있었다. 4대가 한꺼번에 꼬리를 물자, 정차할 자리조차 없었다. 새로 들어온 버스는 옆차에 딱 붙여 길 위에 차를 세운 뒤 문을 열었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요우커) 수십명이 한꺼번에 쏟아져 내렸다. 면세점으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 앞은 순식간에 발디딜 틈도 없어졌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보복으로 뚝 끊겼던 요우커들이 속속 귀환하고 있다. 본격적 사드 해빙 무드에 면세점들도 매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실제 이날 신세계면세점 10층 화장품 코너는 늦은 오후 시간인데도 북적였다. 닥터자르트, 메디힐, 샹프리 같은 인기 중저가 화장품 코너를 중심으로 계산 대기줄이 생길 정도였다.

14~15일 이틀간 신세계면세점 명동점과 강남점에 들렀다가 이달 초 새로 문을 연 현대백화점 면세점까지 방문한 요우커 일행은 800명. 중국 석도지역에서 온 중한노년문화교류단체다. 지난 8일에는 중국 현대자동차법인 영업사원 500여명이 인센티브 관광을 왔다. 수차례 나눠 입국해 이번 주까지 서울 시내 관광을 하고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을 방문하는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15일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에 방문한 중국인 단체관광객들이 면세점에 올라가는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 면세점 관계자는 "아직 전세기가 허용되지 않아 요우커들이 대부분 페리를 타고 들어오고 있는데 중국 정부에서 한국 관광용 중국단체비자, 크루즈, 전세기 등 3대 정책이 허용되는 건 이젠 시간 문제"라며 "다만 사드와 연루돼 괘씸죄에 걸린 롯데 방문은 여전히 금지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지난 9월만 해도 오전에 중국인 보따리상(다이궁)들이 한 차례 쓸고 가면 이후부턴 썰렁했었다. 분위기 반전은 지난달 말부터 시작됐다. 지난달부터 요우커들의 방문이 줄을 잇기 시작한 것.

중국 정부가 한국 관광을 전면 허용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은 이틀 전 1년6개월 만에 한국행 단체관광 상품 판매를 재개했었다. 이날 오후 3시50분 기준 상하이 출발로 총 18대 관광상품이 올라왔었다. 그러나 언론에서 관련 보도가 쏟아지며 중국 내 비난 여론을 의식해 반나절 만에 판매가 중단됐다. 그러나 몇몇 중국 여행사들은 여전히 한국행 단체관광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15일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10층 화장품 매장 코너가 중국인 단체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요우커 재개와 함께 면세업계의 또 다른 변수는 중국 내 온라인 상거래 규제가 강화된다는 점이다. 내년 1월1일부터 중국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이 시행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반 상품판매자인 웨이상도 전자상거래 경영자에 포함해 거래를 양성화하고 세금을 물리겠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그동안 다이궁들은 서울 시내 면세점에서 물건을 대량 구매해 중국 내에선 웨이상 형태로 판매했었다.

B 면세점 관계자는 "음성적이었던 거래가 양성화되면 다이궁들이 위축될 것이란 우려와 오히려 다이궁들이 규모를 더 키워 정식사업자로 등록해 운영할 것이란 기대감이 교차한다"며 "아직까지 중국 다이궁 매출이 떨어지지 않는 것만 봐도 온라인 상거래 규제가 면세점 매출에 악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란 예측이 우세하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