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7 (수)

소행성 간 일본, 이번엔 유럽과 손잡고 수성 탐사 떠났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이 유럽과 함께 수성으로 탐사선을 보냈다. 일본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JAXA)와 유럽우주국(ESA)이 공동으로 진행한 ‘베피콜롬보(BepiColumbo)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을 알린 것이다. 일본이 수성 탐사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미국 외에 기타 국가와 협력해 우주탐사선을 공동개발하고 쏘아 올린 것 역시 이번이 최초다.

중앙일보

유럽우주국(ESA)과 일본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JAXA)는 19일(현지시각)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 우주기지에서 아리안5에 수성 탐사선 2기(미오ㆍMPO)를 실어보냈다. 탐사선은 7년 후인 2025년 수성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2기의 탐사선이 동시에 수성에 진입하는 것은 세계 최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ㆍ유럽 9년간 공동연구 성과...베피콜롬보, 7년간의 항해 시작


ESA와 JAXA는 19일(현지시각) 오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수성 탐사선 2기를 실은 로켓 아리안5를 발사했다. 탑재된 탐사선 2기의 이름은 JAXA의 '미오'와 ESA의 'MPO'로 알려졌다.

JAXA는 "로켓은 정상적으로 비행해 발사 26분 47초 후에는 2개의 탐사선을 정상적으로 분리했다"며 "발사가 성공했다"고 밝혔다. 2기의 탐사선이 동시에 수성 궤도에 투입되는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로, 7년 후인 2025년에 수성에 도착해 공동 관측을 하게 될 계획이다.

중앙일보

유럽우주국(ESA)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수성 탐사프로젝트 '베피 콜롬보'의 탐사선이 19일(현지시각)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우주기지에서 발사됐다. 사진은 아리안5 로켓에 탑재됐던 '수성이동모듈(MTM)'이 수성 궤도에 도착한 후 분리돼 2개의 궤도선을 꺼내놓는 모습을 그린 이미지이다. [ESA=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동 우주탐사 계획, ‘어깨높이’ 비슷해야 가능...韓, 달 우주정거장 건설에 참여해야


ESA와 JAXA가 함께하는 베피콜롬보 프로젝트는 2009년 11월 승인돼 약 9년에 걸친 공동 개발 과정을 거쳤다. 황진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책임연구원은 “JAXA가 ESA와 공동으로 우주 탐사선을 개발한 것이 최초이긴 하지만, 우주 탐사가 가능한 기술적 반열에 오른 국가들은 일상적으로 이 같은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정보 공유를 통해 우주 산업에 투입되는 비용을 줄이고, 자국의 기술 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일본은 국제우주정거장(ISS) 건설 당시에도 ISS 내에 우주인들이 체류하며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과학실험실 모듈 ‘키보’를 제공하는 등 국제 우주 개발계획에 활발히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왔다. 황 연구원은 “우주탐사선을 공동개발하는 프로젝트 등은 개발 주체의 역량이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을 때 이뤄질 수 있다”며 “한국은 이 같은 우주탐사 계획에 참여하기는 아직 부족하지만, 현재 미항공우주국(NASA)이 참여를 제안해 온 달 궤도 플랫폼 게이트웨이(Lunar Orbital Platform-Gateway)’ 구축 등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지난 19일(현지시각) 쿠루 우주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는 아리안 5 로켓. 로켓에 실린 2기의 수성 탐사선은 2025년 말에 수성 궤도에 도착해, 수성의 내부 구조와 자기장 생성의 특성, 태양풍과 자기장의 상호작용 방식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 연구원에 따르면 NASA는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라는 이름의 달 궤도 우주정거장을 2025년까지 완성해 유인 화성 탐사의 전초 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으로, 짐 브라이든스타인 NASA 국장이 이 계획에 한국의 참여 제안을 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구의 과거 밝혀줄 열쇠...지구형 행성 중 가장 탐사 부족


2008년 우주인개발단장을 맡았던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수성은 암석으로 이뤄져 있는 '지구형 행성' 중 가장 탐사가 적게 이뤄진 행성”이라며 “특히 대기가 희박해 기상활동이 적은 만큼, 태양계 행성의 원초적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화성과 금성이 온실효과로 변해갈 ‘지구의 미래’ 라면, 수성은 '지구의 과거'를 간직하고 있다”며 “지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수성 탐사의 의의를 설명했다.

중앙일보

일본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JAXA)는 지난 9월 21일, 소행성 '류구(琉球)'에 관측용 로봇 2대를 성공적으로 착륙시킨 바 있다. 사진은 일본의 무인 우주선인 '하야부사 2'가 발사한 미네르바 -II-1 소형 탐사선 2기의 모습. 이 연구는 태양계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제공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탐사선이 2025년 수성 궤도에 도착하면, 두 개의 관측 위성으로 분리될 예정이다. ESA의 수성 행성궤도선 MPO는 수성 상공 최대 1500㎞에서 표면을 관측한다. 또 JAXA의 수성 자기권궤도선 미오는 최대 1만 1800㎞ 상공에서 수성의 자기장과 입자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JAXA는 지난 9월 ESA와 협력 연구를 통해, 소행선 탐사선 ‘하야부사2’를 소행성 '류구' 상공에 성공적으로 접근, 관측 로봇을 표면에 착륙시킨 바 있다. 최 연구원은 “한국 역시 최근 인공위성 제작 기술ㆍ발사체 기술 발전으로 우주개발 분야에서 국제사회가 관심을 두고 있는 협력 대상국이 됐다”며 “국제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자국 기술 발전을 가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