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정부, 탈북민 출신 기자 취재 제한해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정부가 남북 고위급회담 공동취재단에서 탈북민 출신 기자를 배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북한 눈치 보기라는 지적에 대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원만한 회담 진행을 위해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 취재하고 있는 김지선 기자와 함께 이 내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출발 직전에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는 얘기가 맞는 겁니까?

[기자]

보통 남북 회담은 제한된 장소 등의 문제로 공동취재단이 구성됩니다.

이번에는 4개사가 판문점에 들어가 취재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그중에 탈북민 기자도 있었습니다.

조선일보 소속으로 지난 2002년 남한에 정착해 2013년부터 통일 문제를 취재해 왔습니다.

그런데 통일부가 출발하기 1시간 전, 이 기자를 공동취재단에서 배제하겠다며 조선일보에 다른 기자를 보내달라고 했습니다.

해당 기자가 활발한 활동을 해서 널리 알려졌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통일부 기자단은 어떤 기자를 보낼지는 해당 회사의 권한인 만큼 일방적 배제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항의했지만,

출발 15분 전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해당 기자와 기자단 대표를 불러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판단했다며 배제를 통보했습니다.

이에 따라 탈북민 기자는 어제 취재에 동행하지 못했고, 판문점 취재는 3개사 기자들만 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결정을 내린 조명균 장관은 원만한 회담 진행을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했다는데, 설득력이 있나요?

[기자]

판문점 회의실은 그렇게 넓지 않고 남북 합쳐 기껏해야 10여 명의 취재진만 들어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서로 얼굴을 맞대게 됩니다.

또, 우리 취재진이 북측 대표단에 자유롭게 질문을 하기 때문에 당연히 탈북민 기자도 북측 관리들과 대면하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물론 북한은 탈북민을 배신자라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불쾌감을 드러낼 수 있고, 회담을 거부하는 등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탈북민이라도 대한민국에 정착해 기자라는 직업을 선택한 이상, 자유롭게 취재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 원칙입니다.

탈북민이라는 이유로 대한민국 땅에서 어떤 활동이 제한을 받는다면, 정부는 마땅히 이를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겁니다.

그런 정부가 북한과의 원활한 회담을 위해 오히려 원칙에 반해 일방적인 결정을 내렸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더구나 북한에서는 아무 이의 제기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먼저 나서 이런 결정을 내린 데 대해 지나치게 눈치를 봤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앵커]

그런데 어제 조 장관이 해명을 했는데, 이런 일이 또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고요?

[기자]

네, 통일부 기자단은 어제 성명을 내고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조명균 장관은 같은 상황이 오면 같은 결정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똑같은 상황이라 한다면 같은 판단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사전에 미리 협의하겠다고 했지만 역시 탈북민 기자는 계속 북한 취재에서 배제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겁니다.

현재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긴 했지만 남북 간엔 민감한 문제가 많습니다.

천안함 연평도 포격 등 과거 군사적 행동에 대해 사과를 받는 일부터 탈북민 문제와 북한 인권 문제도 그렇습니다.

이런 문제와 관련해, 북한에서 불쾌감을 표시하고 나아가 이 때문에 남북관계가 틀어질 것을 걱정해 정부가 할 말을 못하고 인권이나 탈북민의 권리에서 양보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통일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김지선 [sunkim@ytn.co.kr]

▶ 24시간 실시간 뉴스 생방송 보기

▶ 네이버 메인에서 YTN을 구독해주세요!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