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더 커지는 한·미 금리 격차…한은, 연내 인상 카드 꺼낼까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연준 기준금리 추가 인상 땐 최대 0.75%P까지 벌어져

외국인 투자 자본 유출 우려 커지면 내달·11월 중 인상 전망

“물가·고용지표 뚜렷한 개선 없을 땐 연내 인상 무산” 관측도

경향신문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꺼낼 수 있을까.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27일(한국시간) 새벽 정책금리를 인상하면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최고 0.75%포인트까지 벌어져 국내 자본유출 등의 우려가 커지게 된다.

금리 인상 압박이 커지면서 한은이 다음달 또는 11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물가와 고용 등 경기지표가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는 한 연내 금리 인상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 연준은 27일 새벽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발표한다. 연준은 정책금리를 연 1.75∼2.00%에서 연 2.00∼2.25%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한·미 금리 차이는 최대 0.75%포인트까지 벌어진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1.50%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미 연준은 오는 12월에 또다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 한은이 다음달과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면 양국 금리차는 역대 최대치인 1%포인트로 확대된다.

한·미 간 금리차 확대만으로 당장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하지 않겠지만 한국 경제에 미치는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6일 ‘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 지속의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 간 금리 격차가 0.25%포인트 확대되면 국내에 유입된 주식·채권 등 외국인 투자 자본 15조원(국내총생산 대비 0.9%)이 해외로 유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부동산 시장의 과열도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저금리로 인해 시중 자금이 부동산 시장에 몰리면서 집값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기준금리 결정을 위한 한은 금통위 회의는 다음달 18일, 11월30일 등 2차례 남았다.

일각에선 지난 7월과 8월 금통위 회의에서 나온 금리인상 소수의견까지 감안했을 때, 늦어도 11월엔 인상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반면 기준금리를 올리기엔 물가와 고용, 경제심리지표 등 한국 경제의 체력이 받쳐주질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은은 다음달 발표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2.8∼2.9%에서 낮출 가능성이 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지난 20일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성 등을 감안, 올 한국 경제 성장률을 2.7%로 낮춰 전망했다.

고용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 취업자수 증가는 7월에는 5000명, 지난달에는 3000명에 그쳤다. 다음달 12일 공개될 9월 취업자 증가수는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한은이 자본유출 우려를 해소하고, 가계부채 감소와 부동산 시장을 억제하는 차원에서 연내 금리인상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근 부진한 경기지표를 감안하면 쉽지 않아 보인다”며 “특히 고용지표가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는 한 연내 금리인상은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은 미 연준 FOMC 회의 결과가 나온 직후인 27일 오전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어 국내 금융 및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다.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