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가라앉는 제조업 생산능력…5달 연속 역대급 감소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월 이후 전년대비 지수 감소폭 커져 7월엔 1.3% '뚝'

조선·해운·자동차 구조조정 영향…정부도 제조업 대책 모색 중

(세종=연합뉴스) 정책팀 = 한국 경제의 성장 엔진이던 제조업의 생산능력이 다섯 달 연속으로 최대 감소 폭을 새로 썼다.

연합뉴스

공장
[연합뉴스TV 제공]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7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2.6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1.3%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7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내림세다.

생산능력지수는 인력·설비·조업시간 등이 정상적으로 생산에 투입되는 상황에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가능량을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지수는 2015년 연간을 100으로 놓고 비교한 것으로, 7월 지수는 3년 전인 2015년에 비해 2.6% 증가에 그쳤다는 의미다.

전년 대비 생산능력지수는 지난 3월부터 매달 감소 폭 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지난 3월 지수는 102.9로 1년 전보다 0.6% 감소했다. 기존 기록인 작년 12월 -0.5%를 깼다.

3월 이후 매달 감소 폭은 더 커지고 있다. 4월 -1.0%, 5월 -1.0%, 6월 -1.1%, 7월 -1.3%다.

지수를 전월과 비교해도 감소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올해 1월 지수는 103.2로 전월보다 0.9%나 감소했다. 올해 생산능력지수가 전월보다 증가했던 때는 2월(0.1%)과 5월(0.2%)뿐이었다.

세부 산업별로 보면 조선·해운이 속한 기타 운송장비와 자동차가 속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지수는 올해 1월(78.4) 70대로 진입한 이후 꾸준히 감소해 7월에는 72.0을 기록했다.

세부 분류인 선박 및 보트 건조업의 7월 지수는 68.3이었다. 2015년 1월 104.3에서 꾸준히 하락해 60대까지 떨어졌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작년 11월 105.9까지 찍었지만 12월부터 계속 감소해 지난 7월은 101.5까지 떨어졌다.

물론 생산능력지수 하락은 과잉설비가 줄면서 생산 효율이 높아졌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실제로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지난 7월 74.3%를 기록, 74.9%였던 작년 1월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제조업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산업현장의 고령화는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됐다.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조사 부과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 5월 기준으로 제조업 취업자 중 55∼79세는 전체 취업자의 19.2%를 기록했다.

5년 전인 2013년 5월과 비교하면 6.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취업자 중 고령자의 비율이 4.9%포인트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제조업은 다른 산업보다 더 빨리 늙어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정부가 최근 추진 중인 중장기 산업구조 개편 작업에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주요 과제로 삼았다는 점은 이런 위기의식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제조업 경쟁력과 고용 창출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반도체 등이 우리 경제를 (계속) 견인할 수 있을지 고찰이 필요하다"며 "전통제조업뿐 아니라 미래 제조업을 위해 어떻게 산업구조를 바꿔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2vs2@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