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北 영변 핵시설 폐기前에 사찰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이노넨 前 IAEA 사무차장 "농축시설 등서 샘플 채취해야 정확히 신고했는지 파악 가능"

1992년 北 미신고 핵물질 찾아 특별사찰 요구했으나 거절당해

조선일보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영구 폐기하기 전에 국제사찰단의 사전 현장 검증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이 3차 남북 정상회담 후 연일 북한에 대한 '핵 사찰'을 주장하는 가운데, 구체적인 사찰과 검증 방식도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올리 하이노넨〈사진〉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은 20일(현지 시각) 미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북한 핵시설이 폐기되기 전에 현장에 가서 확인한다면 검증과 사찰이 훨씬 용이하다"며 "이것이 (확실한 핵 폐기를 위해) 북한에도, 국제사찰단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하이노넨 전 차장은 1994년과 2002년, 2007년 영변 핵 사찰 업무를 이끌었던 인물로, 핵 사찰·검증의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1992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핵을 포기하기로 결정하고 국제사찰단이 도착하기 훨씬 전에 핵 시설을 폐기했었다"며 "이 경우엔 설계도와 시설 운영 관련 자료가 없다면 제대로 된 폐기 여부를 확인할 길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시설의 설계도 등 북한이 정보 자료를 제공해야 어떤 핵물질을 생산해왔고, 총생산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또 "(핵 시설 폐기 전에) 우라늄 농축시설이나 플루토늄 재처리시설에서 샘플을 채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 샘플을 보면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확실하게 신고했는지 알 수 있다"고 했다. 만일 영변 원자로에서 채취한 플루토늄의 동위원소 구성과 북한의 핵무기에 쓰인 플루토늄의 구성이 다를 경우 북한이 비밀 핵시설을 따로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북한은 1992년에 IAEA에 소량의 플루토늄을 제출했지만, 이는 IAEA가 영변에서 채취한 플루토늄과 동위원소 구성이 달라 큰 문제가 됐다고 하이노넨 전 차장은 밝혔다. 당시 IAEA는 이를 근거로 미신고 핵시설에 대한 특별사찰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하이노넨 전 차장은 "북한의 핵 신고를 받고, 강력한 검증과 사찰 단계에 들어가 봐야 그 (비핵화)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며 "북한이 국제사회가 요구한 모든 정보를 제공했는지, 비밀 핵시설을 감추고 있는지 등에 대해 검증과 사찰 단계에서야 북한의 진의 파악이 가능하다"고 했다.





[워싱턴=조의준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