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사설] 남북관계 훈풍 속 이산가족 문제 풀 근본 해법 고민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강산이 다시 눈물로 얼룩졌다. 남측 이산가족 89명이 북한 금강산 관광지구에서 북측 가족을 만나 60여년 이산의 아픔을 토해 냈다. 눈물도 말랐을 세월이지만 앙상하게 마른 손은 연신 깊게 파인 눈가 주름을 훔쳐 냈다. 백발이 성성한 아들 얼굴을 쓰다듬던 이금섬(92) 할머니는 끝내 오열하고 말았다. 분단의 비극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었다.

애타게 기다리던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2015년 10월 이후 2년10개월 만에 재개됐다. 남북 정상이 4ㆍ27 판문점선언을 통해 이산가족ㆍ친척 상봉 진행을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이명박ㆍ박근혜 정부를 거치는 동안 악화한 남북관계 속에 중단과 반복을 거듭하며 불안하게 진행돼 온 점을 고려하면 남북관계의 훈풍을 타고 이산가족 상봉이 재개된 것 자체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산가족의 심각한 고령화를 감안하면 상황은 여유롭지 못하다. 통일부에 등록된 상봉 신청자 13만2,000여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사망했다. 생존자 5만6,000여명은 80세를 넘은 고령이 대부분이다. 최근 5년 동안 매년 3,600여명이 헤어진 가족의 생사조차 알지 못한 채 숨을 거두고 있고, 올해 상반기에만 3,000명이 사망할 정도로 세월에 스러지는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그런데도 지금처럼 한 번에 100명씩 무작위 추첨 선발하는 방식으로 이산상봉을 추진하다 보니 지금까지 모두 21차례 상봉행사 동안 남북을 합쳐 고작 4,800여 가족만 혈육을 만날 수 있었다. 이산 1세대가 빠른 속도로 세상을 등지면서 이산상봉 행사장에 등장하는 직계가족도 점차 줄어 이번에도 부모-자녀 상봉은 7가족에 불과했다.

이런 식으로는 도저히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 줄 수가 없다. 보다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수석ㆍ보좌관회의에서 언급한 대로 정기적인 상봉 행사는 물론, 전면적인 생사 확인과 화상상봉ㆍ상시상봉ㆍ서신교환ㆍ고향방문 등 모든 상봉 확대 방안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또한 ‘민족 분단으로 발생된 인도적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한다’는 판문점 선언을 기억하고 이산상봉의 문호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