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접히는 ‘폴더블폰’ 당장 선보일 수도 있지만…고민 많은 업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접는 스마트폰인 ‘폴더블폰’을 향한 세계 주요 스마트폰업체의 발길이 빨라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가장 속도가 빠른 스마트폰 업체는 삼성전자다.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CES 2019’에서 폴더블폰인 ‘갤럭시X(가칭)’를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각) "내년 초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4일엔 IT전문매체인 폰아레나가 “삼성전자가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2019 에서 갤럭시X를, 2월 'MWC 바르셀로나 2019'에서 갤럭시S10을 공개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중앙일보

세계 주요 스마트폰 업체가 개발 중인 폴더블폰 추정 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WSJ에 따르면 삼성전자 폴더블폰의 코드명은 '위너(Winner)'다. 디스플레이 크기는 7인치 선이고 지갑처럼 안쪽으로 접는 방식이다. 영상 등을 볼 때는 큰 화면으로 즐기고, 접으면 크기가 4.5인치 정도로 줄어들어 주머니에 '쏙' 넣을 수 있게 된다. 접었을 때 전면에는 작은 막대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후면에는 카메라가 장착될 것이란 전망이다.

애플도 2016년 말 미국 특허청(USPTO)에 폴더블폰 관련 특허를 출원했다. 접으면 5.5인치, 펼치면 9.7인치로 커지는 형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도 미국특허청에 폴더블 특허를 출원, 이달 말 승인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8월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폴더블폰 디자인 특허를 출원했다. 가로가 아니라 세로로 접는 형태로, 화면을 펼치면 전원이 켜지고 접으면 꺼지는 방식이다. 폴더블폰을 접어서 바닥에 내려놓으면 카메라를 삼각대에 얹은 것처럼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토로라도 최근 WIPO에서 6인치 중반 크기의 폴더블폰 디자인 특허를 받았다. 화웨이는 오는 11월 9인치 크기의 폴더블폰을 공개하겠다고 나섰다. 폴더블폰 관련 특허도 여러 건 출원했다. 5인치 크기의 화면 두 개가 가로로 연결된 형태다. 펼치면 9인치 대화면이 된다. 리처드 유 화웨이 최고경영자(CEO)는 “시장에서 성공하는 제품이 되기 위해서는 더 나은 플렉서블(유연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폴더블폰은 정체기에 접어든 스마트폰 시장에 '가뭄의 단비'가 될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술이 상향 평준화하며 그간 새 스마트폰이 나와도 '이전과 비슷하다'는 평을 내놓던 수요자들이 확 달라지는 디자인에 대해 어느 때보다 큰 기대감을 보이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접는 것은 현재 기술로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이미 디스플레이를 구부리거나 돌돌 말고 섬유처럼 잡아당길 수 있는 수준까지 발달한 상황에서 접는 기술 자체가 걸림돌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삼성전자를 비롯해 주요 스마트폰 업체가 섣불리 폴더블폰을 내놓지 못하는 데는 차별화에 대한 압박이 작용한다. 폴더블폰은 교체를 유도해 수요를 늘릴 수 있는 '히든 카드'지만, 획기적인 변화를 끌어내지 못하면 자칫 소비자에게 큰 실망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IDC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지난해 역대 처음으로 0.3% 감소했다. 올해도 0.2%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고 기술 상향 평준화로 교체 수요도 줄어든 영향이다.

익명을 요구한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업계에선 폴더블폰에 대한 수요자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면 침체한 스마트폰 시장의 분위기를 바꾸기 어렵다고 본다”며 “화면을 접어야만 누릴 수 있는 콘텐트와 사용자 환경(UI)을 내놔야 하는 것이 큰 고민"이라고 말했다.

시장성에 대한 확신도 없는 상황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세계 폴더블폰 시장 규모(판매량 기준)가 내년 320만대에서 2022년 5010만대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이 전망대로 3년간 15배 성장해도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2022년) 수준이다.

비용을 투자해 폴더블폰 생산 라인을 갖춰 상용화해도 이익이 적을 수 있다는 의미다. 가격에 대한 고민도 적지 않다. 폴더블폰은 일반 스마트폰 두 배 수준의 디스플레이가 장착된다. 과열 우려도 크고 배터리 용량도 더 커야 한다. 내장되는 반도체 칩 성능도 더 좋아야 한다. 원가가 비쌀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가격이 1500달러(약 170만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한다. 결국 스마트폰 가격의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불리는 1000달러(약 113만원)의 저항을 뛰어넘을 수 있는 매력적인 성능을 선보여야 한다는 의미다.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무선사업부장)도 연초 갤럭시S9 출시를 앞두고 "스마트폰은 100만원이 소비자 심리적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한다"며 "제품 가격을 100만원 이내로 맞춰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WSJ도 “최근 몇 달 동안 (폴더블폰) 프로젝트가 긴박하게 운영되고 있지만, 최종 디자인과 출시 시점은 변할 수 있다”며 “(폴더블폰 공개 후) 곧바로 판매에 나서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