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터키·이집트·사우디 등 중동에 드리우는 인터넷 장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모델 차용 자국민 인터넷 접근 통제

(서울=연합뉴스) 유영준 기자 = 이집트와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의 권위주의 국들 사이에 '중국 방식'을 본뜬 온라인 검열 통제가 증가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이집트의 경우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미국의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나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 웹사이트 접근이 불가능하다.

이집트의 대표적 독립 뉴스매체인 마다 마스르는 2017년 6월부터 봉쇄된 상태다. 이집트 의회는 최근 정부에 이른바 '유해' 사이트 봉쇄 권한을 부여하는 온라인 검열 강화 법안을 통과시켰다.

터키 정부는 최근 위키피디아를 비롯한 10만 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차단했다. 사우디의 경우 경쟁국인 인접 카타르나 이란 관련 뉴스사이트 접근이 봉쇄돼있다.

연합뉴스

대통령궁서 취임 연설하는 에르도안



WSJ은 이들 중동 권위주의 국들이 자국민에 대한 유명 온라인 접근을 차단하는데 중국 방식을 차용하고 있으며 검열 및 차단에 종종 서방의 기술이 동원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소셜미디어 역할로 이른바 아랍의 봄이 태동하기 2년 전인 지난 2009년부터 페이스북을 금지해오고 있다.

지역별 온라인 사이트 차단 현황은 현지 권력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차별을 보이며 이에 따라 나라별로 독자적인 인터넷 모델을 보인다고 런던 소재 국제적 온라인 검열 추적 단체인 넷블럭스 측은 밝혔다.

인터넷의 잠재적 위험을 감지해온 정부들은 오랫동안 자국민의 온라인 이용을 감시하려 해왔으며 이를 위해 유사시 인터넷망을 단절하거나 그 속도를 늦추는 수단을 동원해왔다.

이집트는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을 축출한 2011년 혁명 당시 인터넷 접근을 전면 차단했으며 터키는 2016년 실패한 쿠데타 이후 반대파를 단속하는 과정에서 인터넷 접근을 반복적으로 차단하거나 그 속도를 늦췄다.

그러나 근래 인터넷 관련 첨단 기술들이 더욱 광범위하게 공개시장에 유통됨으로써 국내 첨단 기술 기반이 없는 국가들도 이들 기술을 도입해 인터넷망을 차단, 감시하거나 방향 조정, 인터넷 트래픽 변경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고 WSJ은 전했다.

캐나다 토론토대의 인터넷 리서치 그룹인 시티즌 랩은 이집트 정부가 인터넷을 차단하는 데 캐나다의 광대역 솔류션 업체인 샌드바인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밝혔으나 샌드바인 측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사우디를 비롯한 걸프국들은 2017년 5월 국익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알자지라 방송과 기타 카타르 뉴스매체들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다. 이른바 카타르에 대한 사우디 주도 봉쇄작전의 서막이었다.

yj378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