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재인 정부에서도 홀대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직제·인력 등 전 정부 그대로…정상화 약속 안 지켜

지역사회 "정부가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 핑계로 뒷전"

연합뉴스

아시아문화전당 전경



(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박근혜 정부에서 극심한 홀대를 받았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문재인 정부에서도 격하된 위상을 벗어나지 못한 채 겉돌고 있다.

총 사업비 5조3천억원 규모의 초대형 국책사업을 전 정부들이 전당의 직제를 낮추고 인력을 축소하는 바람에 전당장 공석으로 인한 직무대리 체재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1년 전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문화전당 정상화를 약속했지만 박근혜 정부와 비교해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고 지역사회에서는 현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하고 있다.

18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인력은 현재 전당과 아시아문화원 두 기관 소속 직원 220명이다.

전당에는 전당 업무를 총괄하는 문화체육관광부 파견 공무원과 전문임기제 직원 등 60명이 근무한다.

전당 콘텐츠를 담당한 위탁기관인 아시아문화원은 정규직 90명과 계약직 70명 등 모두 160명이다.

아시아문화원 원장은 따로 있지만 아시아문화원을 포함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총괄업무는 전당장이 맡는다.

아시아문화전당 정상화를 바라는 지역 예술계에서는 이 전당장의 직급을 차관급으로 상향하고 전당·아시아문화원 인력을 늘려야 전당이 정상화 작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문체부는 전당과 아시아문화원 적정 운영 인력을 623명 정도로 봤었지만 지난 정부가 이를 3분의 1수준으로 축소했다.

지역 예술계는 600여명도 부족하고 900∼1천명은 확보돼야 전당에 부여한 비전과 목표에 걸맞은 사업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당장 직급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 전당장은 전문임기제 가급으로 박근혜 정부가 2015년 직제개편을 통해 1급 관리관부터 4급 서기관 상당의 공무원도 맡을 수 있도록 했다.

인력마저 축소한 곳에 전당장 위상마저 떨어져 당시 지역 정계·문화계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지만 그대로 시행됐다.

연합뉴스

아시아문화전당



지역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도 아시아문화전당의 이같은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점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을 이유로 아시아문화전당 정상화 사업까지 뒤로 미뤄진 것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시각이 많다.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이기훈 상임이사는 "옛 전남도청 복원과 아시아문화전당 정상화는 별개 사안인데도 정부가 이를 이유로 전당 정상화를 후순위로 미루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이 상임이사는 "박근혜 정부가 최초 계획의 4분의 1로 토막 내 버린 전당 조직을 문재인 정부가 하루속히 정상화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광주시도 전당 정상화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당장 직급 상향과 인력 확보가 절실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아시아문화전당 관련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문화전당은 국립이긴 하지만 광주의 콘텐츠이기도 한만큼 지역의 관심이 필요하다"며 "지역정치권도 이 문제에 관심을 두도록 촉구하고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문화전당은 2002년 12월 노무현 전 대통령 대선 공약으로 2023년까지 5조3천억원을 투입해 광주를 아시아 문화의 중심도시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한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2008년 6월 기공식을 한 뒤 모두 7천65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예술극장, 창·제작 공간인 창조원, 어린이문화원, 정보원, 교류원, 외곽 주차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2015년 11월 공식 개관했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직제와 인력 부족으로 1조원 가깝게 투입한 전당이 활성화되지 못한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bett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