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친환경 흑산공항 건설하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섬주민 교통복지 높이고,
환경파괴 피할 수 있고,
인구유출 막을 수 있어…
일본은 섬공항 적극 건설”

박경곤 신안부군수 기고

전남도청에서 자리를 옮겨 ‘희망이 샘솟는 천사섬’ 신안군 부군수로 지난 13일 부임했다.

민선 7기 첫 간부회의 때 박우량 군수의 발언은 인상적이었다. 환경보전과 농어민 소득증대 정책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는 “신안은 섬으로만 형성된 농·어업 군으로서 면적은 육상 기준 서울의 1.1배이고, 바다를 포함하면 서울보다 22배 넓다. 신안은 전국에서 재정자립도가 가장 낮지만, 돈이 되는 해양 자연환경이 미래의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2009년 5월 국내 전체 갯벌 면적의 84.3%가 분포된 신안군 전 지역은 유네스코 다도해 생물권보전 지역으로, 갯벌이 없는 흑산면을 제외한 13개 읍·면은 갯벌도립공원으로 각각 지정됐다. 오는 2020년에는 신안 갯벌의 우수성과 뛰어난 생태가치를 전 세계에 알릴 목적으로 서남해안 갯벌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한다. 서남해안갯벌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면 현재 읍·면 쓰레기 처리시설을 폐쇄하고 육지로 쓰레기를 실어 내 소각한다. 기업형 돈사, 양계장 시설은 건축허가를 허락하지 않고 종전의 가축분뇨처리 시설은 현대화로 유도한다. 친환경 지역으로 거듭나려는 노력이다.

앞으로 육상과 해상의 자연생태환경을 잘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 생물권보전지역 내에 전국 최초로 친환경세제 보급사업을 한다. 또 영농 폐비닐을 정부 매입 단가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사들여 환경도 보전하고 농가의 농업 외 소득증대에도 도움을 준다.

이처럼 풍부한 해양 자연환경을 갖추고도 섬에 공항 시설이 하나도 없는 점은 뼈아프다. 배편 말고는 섬을 방문하기도 빠져나가기도 불가능하다.

일본의 경우 국립공원 내 섬에 공항이 6개소가 있다. 일본은 주민수에 상관없이 섬에 공항을 건설해 주민과 관광객 편익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립공원 외 다른 섬에도 공항 99개소를 세웠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흑산도와 울릉도에 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흑산 공항 건설 사업은 국립공원위원회가 2016년 11월 보류 결정을 내렸다. 철새 등 조류 보완 대책이 부족하다는 이유다.

신안군은 2007년부터 철새보호 담당 부서를 신설해 철새연구협약, 철새심포지엄개최, 바닷새 번식지 복원활동, 철새탐조대회, 국제철새공원조성 사업 등 흑산권역 철새보전 활동을 하고 있다. 군비 98억 9000만원을 투입했다. 그런데도 미흡할 수도 있다. 보완할 것은 보완하면 된다.

흑산도와 이 섬과 가까운 홍도 해역은 1981년 12년 23일 ‘제14호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지역’으로 지정됐다. 국립공원 지정 당시 지역 주민에게 피해는 전혀 없고 생태환경보전 정책사업 지원의 혜택을 받는다고 홍보했다.

하지만 37년 동안 주민은 사유재산권 침해와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2011년 10월, 환경부가 공원구역 내 거주민과 탐방객의 편익 증진을 위해 자연공원법을 개정해 활주로 1.2㎞ 이내 소규모 공항건설 토대를 닦았다.

건설 보류 결정 이후 1년 8개월이 흘렀다. 이제 오는 20일 국립공원위원회 재심의를 앞두고 있다. 일부 환경단체는 “환경이 파괴된다. 재검토하라”고 여전히 주장하고, 흑산 주민은 “국민의 교통 기본권과 이동권을 보장하라”고 맞선다.

사실 예상하는 환경 파괴 수준은 미미하다. 흑산공항 건설은 국내 공원 전체 면적의 0.0003%, 공원 육지 면적의 0.009%(16만 5000평)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친환경 공항’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섬에 산다는 이유로 교통복지 혜택을 받지 못한다면 형평성에 어긋나게 된다. 섬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 이동권 보장뿐만 아니라 섬 인구 유출을 막는 새로운 교통수단은 현재로선 항공편밖에 없다. 무분별한 환경파괴를 피하고도 교통복지 개선 효과를 거둘 것이다.

이제 신안군민은 내 가족이나 다름없다. 이들의 발이 되는 비행기가 흑산공항에서 힘차게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싶다.

[조홍복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