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흔들리는 '7월 금리인상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용 등 경기지표 8월께 개선"

주요 증권사 "인상 어려울 것"

북미회담 논의는 변동성 키워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를 동결하며 증권사 채권 애널리스트들은 7월 금리 인상도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고용지표 등 국내 경기지표 개선이 8월께나 가능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북미 정상회담 등 외부변수는 예측 불가능한 변동성에 금리의 영향이 제한적으로 바뀌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오는 7월에도 금리 인상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신영증권은 “월간 취업자 수 증가 정도가 8월께나 가시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여 7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DB금융투자는 한국 10년물 금리는 2.9%를 상단으로 보고 미국 10년물 금리의 상단을 3.2%로 예측하며 갭을 30bp(1bp=0.01%포인트)로 예측했다. DB금융투자는 국내 경기 사이클이 본격적인 둔화 국면에 접어든 것은 아니지만 경제지표의 반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은 올해 기준금리가 최소 2회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이 3월 금리를 인상하면서 한미 간 금리 역전이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외국인의 자금 유출 우려에 한은 역시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다.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자금은 이자율이 높은 자산으로 몰리는데 한국보다 미국이 더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가 높아지면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금통위에서도 금리동결과 함께 금리 인상에 대한 소수의견이 나올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금리동결은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경기 호조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커진 탓이다. 박상현 리딩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 총재가 국내 경제가 비교적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언급했지만 불확실성에 대해 경계감을 표시하는 등 자신감이 다소 줄었다”며 “고용시장 우려감을 표시한 점도 경기 사이클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체감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굳이 금리 인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3%대 성장이 유효하지만 성급하게 금리를 높이지는 않을 것”이라며 “7월 말 2·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확인한 후 경기에 대한 스탠스를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1·4분기와 달리 하반기 시장 금리는 8월 경기지표 발표까지 하락 기조(시장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는 돌발변수다. 25일 국고채 금리는 미국이 돌연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하면서 단기물은 상승, 장기물은 하락하는 등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후 북미 정상회담 논의가 극적으로 재개됐지만 언제든 튀어나올 수 있는 돌발 상황 탓에 변동성이 커졌다. 허태오 삼성선물 연구원은 “미국이 돌발 북미회담을 취소한다고 발표했을 때 금융 시장이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며 “금통위 이후 불확실성의 제거로 하반기에 상승 흐름이 전망되지만 북미 간 돌발 변수는 시장의 변동성을 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지혜기자 wis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