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中 사드→엘리엇→美 관세…'갈 길 바쁜' 현대차 깊어지는 주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미국 정부가 수입산 자동차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국내 완성차 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더팩트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차, 미국 수입차 관세 압박에 고심

[더팩트 | 서재근 기자]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의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로 촉발한 중국발 무역 보복 여파로 2년 가까이 현지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룹 최대 현안인 지배구조 개편안 전면 철회라는 뼈 아픈 결단까지 내린 데 이어 미국이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관세 폭탄을 예고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25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국내 주요 완성차 5개사(현대차, 기아자동차, 쌍용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한국지엠) 등은 미국 정부의 수입산 자동차 관세 부과 추진에 대응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와 완성차·부품업계 모두 위기에 공감하며 미국의 관세 부과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고심이 깊은 곳은 국내 완성차 미국 수출 물량 가운데 과반을 차지하는 국내 완성차 업계 '맏형'인 현대차다.

업계에서는 "전 세계 자동차 시장 '빅2'인 미국과 중국 모두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20%를 웃도는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가격 경쟁력에서조차 뒤쳐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시장 안팎의 위기감은 최근 현대차 보여준 해외 판매실적과 무관하지 않다. 현대차는 지난해 해외 시장에서 모두 381만588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8.2% 줄어든 수치다. 감소세는 올해 1분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1분기 해외 시장 판매 역시 전년 동기와 비교해 1.7% 줄어든 104만9389대에 그쳤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 둔화세가 뚜렷했다. 현대차의 올해 1분기 미주 지역 판매량은 27만3000여대로 전년 대비 5%가량 줄었고, 지난 4월에도 미국 시장에서 5만6000여 대를 판매하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1%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미국 현지 시장 점유율도 같은 기간 4.42%에서 4.13%로 뒷걸음질 쳤다.

더팩트

현대자동차는 지난 4월 미국 시장에서 5만6000여 대를 판매하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1%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시장 내 판매부진의 해법으로 현대차가 꺼낸 카드는 '신차 출시'다. 현대차는 지난달 26일 1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오는 2020년까지 미국 수요가 1% 안팎으로 소폭 내림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지만, SUV 라인업을 대폭 보강해 수익성을 개선할 것이다"고 말했다.

문제는 새 모델의 가격표에 25%의 관세가 더해질 가능성이다. 컨퍼런스콜 당시 구자용 현대차 IR 담당 상무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과 관련해 대미 수출 무관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 불확실성이 완화됐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지만, 불과 한달여 만에 미국 시장 분위기는 180도 달라졌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그룹 지배구조 개편안 전면 수정을 선언한 지 일주일도 채 안 된 상황에서 미국이 수입차를 대상으로 최대 25%에 달하는 관세 부과 방안을 꺼내 든 만큼 현대차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며 "특히, 현대차의 경우 국내 공장에서 자체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35%에 달한다. 고육지책으로 국내 생산 비중을 줄이는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겠지만, 이마저도 노조 측의 반발과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쉬운 선택은 아니다"고 말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미국이 25% 이상의 관세 부과를 확정한다면 사실상 현대차를 비롯한 국내 완성차 업계의 대미 수출은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맞다"며 "현대차가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선택한다면 이와 연계된 부품업체 역시 미국 현지로 생산라인을 옮겨야 한다. 국내 완성차 업계가 국내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하면 그 영향은 나라 경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FTA 철강 관세 협상 사례처럼 이번 미국의 수입차 관세 대상 명단에서 우리나라가 제외될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서 협상에 나서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이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