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줄면 걱정, 늘어도 부담" 中 관광객 딜레마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단체관광 금지 해제로 한국행 관광수요 증가 전망
덤핑여행상품 한국여행 만족도 하락 주범..정부 제도개선 나서
현 여행·관광업계 불합리한 구조 지속될 경우 관광경쟁력 하락 우려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중국 정부가 한국행 단체관광을 허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우리 정부나 관련업계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의 한한령 해제조치로 각 분야별로 교류가 재개되는 가운데 본격화될 관광교류에 앞서 셈법도 복잡해졌다.

우리 정부나 여행ㆍ관광업계에선 기본적으로 해외관광객 유치에 공을 들이는 만큼 절대적으로 비중이 큰 중국은 주요 '마케팅' 대상으로 꼽힌다. 그러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로 인한 중국 정부의 조치로 지난해 국내 관련업계가 휘청인 점을 감안하면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 정부가 중국인 단체관광객 방한여행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저가여행을 못 하게 하는 등 각종 정책수단을 동원한 것도 과거 중국인 방한관광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중국의 해외여행객은 한국은 물론 전 세계 주요 국가 차원에선 중요한 '고객'이다. 14억명에 달하는 인구 자체가 든든한 배경이다. 글로벌 제조업체가 바잉파워를 앞세운 중국 내수시장에 공을 들이듯, 주요 정부나 관련업계에선 유무형의 관광자원을 앞세워 중국인 호객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중국 카드업체 은련과 온라인여행사 씨트립이 발표한 올해 춘절(우리 음력 설) 해외여행 보고서에 따르면, 연휴기간 해외여행을 다녀온 중국인이 6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주일(2월15일~21일)간 해외여행객이 지난 한해 우리 전체 해외여행객(2409만)의 4분이 1을 훌쩍 넘는 수준이다.

홍콩의 한 금융회사가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해외 관광객은 오는 2020년까지 2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씀씀이 규모도 적지 않다. 중국 여행객의 해외 소비규모는 300조원 안팎(2016년 기준)에서 2021년이면 480조원에 달할 것으로 이 업체는 내다봤다. 화장품이나 명품을 비롯해 카지노 등 중국인이 선호하는 분야가 성장세가 가파를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경제

서울의 한 면세점에서 외국 관광객들이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아시아경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향후 2~3년 후면 전 세계 명품 소비의 3분의 1 이상을 중국 관광객이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중국 내 여권발급률이 여전히 한 자릿수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전해진 만큼 향후 성장잠재력은 더 크다. 중국 당국이 유커(游客)를 '외교무기'처럼 쓴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사드 이후 국내 업체가 입은 타격이 크게 느껴진 건 직전까지 중국 관광객이 늘 것이란 전제 아래 준비했었기 때문이다. 면세점이 대표적이다. 사드 조치 전에 있었던 신규 면세점 사업자 선정은 과거 어느 때보다 치열했다. 면세사업은 사드사태 직전까지만해도 급증하는 중국 관광객을 기반으로 알짜사업이란 인식이 강해 정부는 사업자를 늘렸고 각 업체 차원에선 대대적으로 투자에 나서기도 했다.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초저가 여행상품이 만연한 점도 고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행기나 뱃삯도 안 나올 정도로 싼 여행상품이 가능한 건 쇼핑여행으로 생기는 수수료나 관광객 알선에 따라 중국 여행사에 지급하는 인두세 같은 뒷돈이 공공연히 거래되기 때문이다.

중국 관광객이 급증하던 2010년대 들어 중국 단체관광객을 유치하려는 국내 전담여행사가 우후죽순 생기면서 제값으로 거래하는 시장질서가 흐트러졌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했다. 우리 정부가 쇼핑일정을 무리하게 채우는 등 여행상품의 구성수준이 떨어질 경우 퇴출하거나 신규 지정 때도 이 같은 점을 살펴보겠다고 강조하는 등 관련 규정을 손본 것도 이 같은 지적이 수년 전부터 제기돼왔기 때문이다. 중국 여행객 발길이 늘어난 태국 역시 '재로달러투어'라 불리는 덤핑여행상품이 문제가 돼 금지하기도 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여행 저변이 늘어날 경우 쇼핑관광이 줄어드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중국 역시 비슷한 추이를 보인다"며 "중국 단체관광이 재개된다고 해도 쇼핑패턴이 달라져 지금과 같은 송객수수료를 유지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여행사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와 올해 제주에선 중국 여행객이 줄면서 오히려 국내 여행객이나 제3 국에서 온 여행객이 늘었다"며 "중국 여행객에 대한 반감정서 역시 일정한 영향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