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정상회담] 판문점에 쏠린 미중일러의 눈…서로 다른 속내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중·러·일 "한반도 평화 지지" 한목소리

저마다 자국 정치·안보 이익 최대화 방점

뉴스1

© News1 최진모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27일 판문점에서 열리는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 전 세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한반도 문제에 자국의 첨예한 이익이 걸려있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은 이번 남북회담 진행 상황을 예의 주시해왔다. 다만 북핵 6자회담 당사국인 이들 국가들이 이번 회담을 보는 시선과 속내는 저마다 다르다.

◇美 트럼프 "北 비핵화 달성해 안보위협 제거"

먼저 북한의 최대 주적인 미국은 남북회담 결과에 그간 핵심 안보 위협이었던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해결의 명운이 달려 있다고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월 예정인 북미정상회담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이번 남북회담에서 어떤 선제적 조치들이 나올지에 따라 향후 북미회담의 성패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또한 북미정상회담은 러시아 미 대선 개입 스캔들 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중간선거와 2020년 재선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승부수이자 변수로 꼽힌다.

전임 대통령들이 수십년 동안 실패해 온 북한 비핵화를 달성함으로써 현재 정치적 악재와 자국내 반대 여론을 돌파하겠다는 의도다. 그런 만큼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대북협상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는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상 처음으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일괄타결, 이른바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이 이뤄질 수 있단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뉴스1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시진핑 "한반도에 中영향력 약화될까"

이를 바라보는 또 다른 G2 중국의 속내는 복잡하다. CNN에 따르면, 중국은 북한이 남북 및 북미 회담을 통해 전통적 '혈맹' 관계인 중국을 떠나 '미국과 가까워지는' 협상에 합의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중국은 북한을 주한미군과 거리를 두는 '완충제'로 여겨왔다.

중국이 미국에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지 않은 북한에 불만을 표현했고, 북미회담에 앞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북을 추진했다가 거절당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그간 북한에 거리를 둬왔던 시 주석이 일련의 회담을 앞두고 지난달 방중한 김 위원장을 극진히 대접한 것도 이런 우려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최근 미국과 무역 마찰이 고조되면서 북미 관계 개선 가능성에 더욱 날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지키길 원하는 중국이 대북 제재를 해제하고 북한에 피신처를 제공함으로써 북한을 비핵화하려는 미국의 노력에 훼방을 놓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자오 콴셍 아메리칸대학교 국제관계학 교수는 25일 아산플래넘에서 "중국이 북한에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개방"이라며 "중국은 북한 정권에 어떤 위협감을 느낀다면 군사적 경제적 옵션을 동시에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푸틴 "북미관계 예의주시"

역시 북한에 '완충제' 역할을 기대하는 러시아 또한 북한이 미국과 가까워질 가능성을 경계하면서 이번 남북회담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러시아는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해서는 미국이 북한에 대한 군사 압력을 완화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미국의 시리아 공습으로 미러 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러시아가 미국 주도의 비핵화 과정에 어느 정도 동조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러시아 또한 경제 제재 등으로 미국과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핵 문제는 그들의 우방인 이란이나 시리아 사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일본 아베 "숙원 과제 납북자가 정치적 회생 기회"

일본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가장 발빠른 행보를 보인 국가다.

아베 신조 총리는 남북회담에 앞서 17~18일 방미해 트럼프 대통령과 미일정상회담을 열고 일본 납치자 문제 해결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외에 일본을 사거리에 두는 중단거리 미사일 폐기 문제의 의제화를 요구했다.

다만 이는 각종 정치적 스캔들로 지지율이 곤두박질 치고 있는 아베 정권의 상황에서 기인한 측면이 더 크다. 대북대화를 한국이 주도해나가면서 나온 '재팬 패싱' 논란을 불식시키고 향후 한반도 문제에 대한 지분을 확실히 챙기는 모습으로 자국내 여론을 돌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실제 남북·북미회담에서 일본의 숙원 과제인 납북자 문제 해결 요구가 수용될 경우 아베 총리에게는 회생의 기회가 될 수 있다.
baebae@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