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명의에게 묻다] 암인듯 아닌듯…걱정 키우는 '갑상선 여포종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갑상선혹 10∼20%가 암 구별 힘든 여포종양…15∼30%만 '악성'

"감별 힘든 만큼 수술로 여포종양 실체 확인하는 게 최선"

(서울=연합뉴스) 배자성 서울성모 암병원 갑상선암센터장 = # 이모(36·남)씨는 지름 8㎝ 정도의 갑상선 결절(혹)이 보여 조직검사를 한 결과 '갑상선 여포종양'으로 진단됐다.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갑상선의 여포 세포에 종양이 생겼는데, 이 종양이 암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는 상태였다. 이에 종양을 떼어내면서 잘라낸 조직의 일부를 동결시켜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동결절편검사'를 주변 림프절까지 확대 시행했다. 이 결과 림프절에 암이 전이된 것으로 판단돼 갑상선전절제술로 이씨의 갑상선 전부를 떼어냈다. 이후 최종 조직검사에서는 여포에서 시작된 '저분화갑상선암'으로 확진했다. 이씨는 이 수술 후 수차례의 정밀검사에서 서로 다른 림프절 3곳에 암이 전이된 것으로 진단돼 3차례의 림프절 절제술과 함께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를 받았다. 현재는 다행히 재발 없이 경과를 관찰 중이다.

갑상선암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암이다. 갑상선에 혹이 생기는 게 갑상선 결절인데, 이 중 5∼10% 정도가 암이다.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갑상선암은 진행속도가 느리다고 해서 '착한 암'으로 분류된다. 그렇다고 갑상선암을 마냥 가볍게만 넘겨서도 안 된다. 갑상선 주변에는 기도, 식도, 혈관, 성대 신경 등 주요기관이 지나가는데 갑상선에 생긴 암이 겉껍질(피막)을 뚫고 퍼지거나 심하면 기도, 성대 신경을 침범하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갑상선암이 느리게 진행된다고 방치만 하는 것은 금물이다.

연합뉴스

갑상선암과 여포종양 초음파 사진 [서울성모병원 제공=연합뉴스]



더욱이 수술 전 대부분 진단되는 갑상선암과 달리 '갑상선 여포종양'은 곧바로 양성 혹은 악성을 구별할 수 없어서 의료진이나 환자에게 고민을 안겨준다.

여포종양은 현미경 검사에서 세포가 종양의 피막을 뚫고 나가는 부분이 있거나 혈관을 침범했으면 암으로, 아니면 양성종양으로 진단한다. 때문에 수술로 세포를 떼어내기 전에는 암인지 아닌지 구별하기 어려운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앞선 이씨의 사례처럼 여포종양으로 진단받았다가 수술 후 병리학적 검사에서 뒤늦게 갑상선암으로 진단되고, 전이까지 발견될 수도 있다. 전세계적으로 갑상선 결절 중 10∼20%가 암 여부를 구별하기 힘든 여포종양이고, 이 여포종양은 수술 후 약 15∼30% 정도가 암으로 최종 진단된다.

보통 초음파에서 갑상선암으로 의심되는 갑상선결절은 초음파를 보면서 세침흡인검사를 하고, 이를 통해 얻는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해 병리학적 진단을 내린다.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 부위에 침을 넣어 결절의 일부만을 빼내 검사하는 방식이다.

가장 일반적인 진단 가이드라인은 6단계(진단 부적합, 양성, 이형성, 여포종양 의심, 악성 의심, 악성)로 구성된 '베데스다 시스템'(Bethesda System)이다. 이런 단계별 진단 지침에 따라 수술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베데스다 시스템에서 악성으로 나오면 실제 갑상선암일 확률이 매우 높은 만큼 갑상선결절을 포함한 갑상선 제거 수술을 하는 게 권고된다. 또 '진단 부적합' 상태에서 초음파검사상 갑상선암 의심 소견이 동반되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드시 세침흡인검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라면 수술이 필요 없지만, 지속적인 갑상선 초음파 검사로 추적검사를 해야 한다.

연합뉴스

갑상선암 수술 모습 [서울성모병원 제공=연합뉴스]



이런 베데스다 시스템에서 암인지 아닌지 구별이 안 되는 여포종양은 4단계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여포종양을 두고 정확히 암 여부를 진단할 방법은 아직 없다.

때문에 환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점은 과연 15∼30% 정도의 확률로 반드시 수술해야 하느냐는 점이다.

여포종양이 암으로 판명되면 대부분 갑상선유두암의 여포성 변이거나 여포암이다. 이중 여포암으로 판명되면 유두암보다 예후가 나쁘고 폐, 뼈 등 멀리 떨어져 있는 장기로도 전이될 위험이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여포종양은 심지어 여포종양 진단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초음파유도 중심부 바늘생검(총조직검사), 암유전자 검사를 포함한 분자병리검사 등으로 일부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여전히 수술 전 암 진단에는 한계가 있다.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갑상선암센터가 2009년 이후부터 진단된 여포종양 환자 400명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수술 후 최종조직검사에서 암으로 진단된 확률이 50%가 넘었다. 또한, 암의 평균 직경이 2.5㎝로 비교적 크기가 컸다.

여기에 NRAS라는 특정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암의 확률이 높았으나 유전자 변이가 없는 경우에도 약 40%에서 암이 발견됐다. 다만 수술 전 진단법 중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세침검사보다 총조직검사를 시행한 경우가 여포종양 진단 확률이 더 높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암으로 최종 진단돼도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암종이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갑상선 여포종양은 갑상선암 보다는 덜 알려져 있지만, 갑상선 결절의 악성도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질환이다. 현재 가이드라인은 여포종양으로 판단되는 경우 최종 진단을 위해 수술적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

특히 비교적 크기가 큰 갑상선 결절을 갖고 있다면 조직검사를 통해 여포종양의 실체를 감별한 다음 수술치료를 통해 최종 확진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

연합뉴스

배자성 서울성모 암병원 갑상선암센터장 [서울성모병원 제공=연합뉴스]



◇ 배자성 교수는 1998년 가톨릭대 의대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에서 갑상선암 관련 연구교수로 연수했다. 현재 가톨릭의대 외과 교수이자 서울성모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장, 암병원 갑상선암센터장을 맡고 있다. 갑상선암과 갑상선질환의 전문가로 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수련교육이사 및 연구위원, 로봇수술학회 해외협력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bi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