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서울시 금고지기 104년만에 바뀌나…사수냐, 탈환이냐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하나·신한은행 도전장…우리은행은 사수 자신

일부서 "쉽지 않다" 전망에 농협·기업은행 "고민 중"

뉴스1

(자료사진) © News1 허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 '금고지기'를 위한 은행들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된다. 서울시가 104년 만에 복수 금고 운영을 결정하면서 시중은행 대부분이 입찰 경쟁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시는 25일부터 30일까지 시 금고 운영 희망기관을 대상으로 입찰 제안서를 받는다. 서울시는 단수 금고 체계를 복수 금고로 전환하고 일반·특별회계 관리는 제1금고에서, 기금관리는 제2금고에서 담당하도록 할 예정이다.

서울시의 이번 결정은 시 금고 은행인 우리은행과 약정기간이 만료됨에 따른 것이다. 게다가 우리은행의 독점으로 서울시가 받는 혜택이 줄고 있다는 내부 목소리도 작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결정에 따라 새로 선정된 금융사는 내년 1월부터 4년간 32조원에 달하는 서울시 예산과 기금을 관리하게 된다.

서울시 금고지기는 지난 1세기 동안 우리은행이 독점했다. 우리은행과 서울시의 인연은 일제강점기 초기인 1915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경성부였던 서울시가 조선 경성은행(현 우리은행)에 자금관리를 맡기면서 서울시 금고지기는 무려 100여년 넘게 우리은행이 맡아왔다. 그러나 서울시가 복수 금고제를 결정하면서 우리은행의 독식도 끝날 위기에 처했다.

뉴스1

서울시청 전경. (자료사진) © New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서울시 금고지기 경쟁엔 원조 격인 우리은행을 포함해 국민, 하나, 신한은행 등이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애초 참가 의사를 밝혔던 농협과 기업은행은 막판까지도 입찰 여부를 조율 중이다.

금고 시장에서는 후발주자에 속하는 국민은행은 허인 행장 취임 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펼쳐 온 공격적인 영업을 이번에도 한껏 발휘하겠다는 입장이다. 3번째 서울시 금고지기에 도전하는 신한은행은 지난해 국민연금 주거래 은행을 우리은행에 빼앗긴 만큼 더욱 고삐를 죄고 있다.

역시 도전장을 내민 하나은행은 대전시 1금고를 맡은 경험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하나은행 측은 "하나은행은 대전시를 포함해 총 15개의 지자체 금고를 47년간 무사고로 운영하고 있다"며 "외부 해킹을 완벽하게 차단할 전산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100년 이상 이어 온 금고지기로서 경험과 탄탄한 전산시스템 등 이미 갖춰진 인프라를 강점으로 내세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금고지기에 필요한 인력과 전산시스템이 모두 갖춰져 있는 상황"이라며 "(새로운 은행이 선정되면) 적응 기간이 필요할 텐데, 그 사이 오류 등을 감당할 수 있을지 관심"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서울시 25개구 중 용산구를 제외한 24개 구 금고 역시 우리은행이 담당하고 있는 점도 강점 중 하나다.

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의 강점을 무시할 수 없어 서울시 금고지기 독식이 이번에도 깨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서울시의 세금수납 시스템인 이택스(ETAX) 자체가 우리은행에서 개발한 것"이라며 "우리은행의 전산시스템 강점으로 1금고엔 당연히 우리은행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귀띔했다.

그런데도 도전장을 내민 은행들은 1, 2금고 모두에 입찰 신청서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시 금고 주거래 은행'이라는 상징성이 주는 효과가 크고, 부가적인 이익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32조원에 달하는 서울시 금고지기는 서울시 금고지정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5월 중 금고 업무 취급약정을 체결한다. 심의위원회는 Δ금융기관의 대내외적 신용도 및 재무구조의 안정성 Δ시에 대한 대출 및 예금금리 Δ시민의 이용 편의성 Δ금고 업무 관리능력 Δ지역사회 기여 및 시와의 협력사업 등 5개 분야, 18개 세부항목을 놓고 평가한다.
jung9079@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