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0.9%'가 여론 좌우…네이버서 진영 간 '댓글 전쟁'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댓글을 조작까지 해서 얻고자 한 것은 본인들에게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서죠. 그런데 포털의 절대 강자인 네이버에서 댓글을 다는 사람들은 0.9%에 불과했습니다. 이 극소수가 여론을 움직이고 있었다는 건데, 저만 허탈한 건 아닐 거 같습니다.

김수형 기자입니다.

<기자>

네이버에 달린 댓글을 분석하는 사이트입니다. 그제(19일) 하루 네이버 뉴스를 본 사람은 1천 300만 명, 이 가운데 댓글을 단 사람은 11만 9천 명, 0.9%에 불과합니다.

10개 이상 댓글을 달아 적극적으로 의사 표현을 한 사람은 3천 700명, 0.029%로 더 적습니다. 말 그대로 극소수입니다.

[한규섭/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 댓글에 달려 있는 것은 대표성 있는 여론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이죠.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 여론 왜곡이 일어날 소지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는 초기에는 시간 순서로 댓글을 보여줬습니다. 그러다 2015년 호감이 많은 댓글이 상단에 보이도록 변경했습니다.

특정 세력이나 열성 팬이 공감이나 비공감을 계속 누르면 댓글 순위를 바꿀 수 있게 된 겁니다. 이 방식은 진영 간 댓글 전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지난해에는 공감 비율 순과 순 공감순으로 배열 방식을 또 변경했지만, 여론 조작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드루킹 일당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동원해 손쉽게 여론을 조작했습니다.

네이버는 언론사 기사를 재료로 댓글 경쟁을 붙여 소비자들을 사이트에 오래 머물게 한 뒤 광고를 팔아 수익을 얻습니다. 또 뉴스를 배열하면서도 언론이 아니라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해진/네이버 창업자 (지난해 국정감사) : 뉴스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언론과는 다른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구글처럼 포털에서 기사를 누르면 언론사로 연결되는 아웃링크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는 등 이번 기회에 포털 댓글을 개선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수형 기자 sean@sbs.co.kr]

☞ [단독] 특별사면과 평창…삼성의 은밀한 뒷거래
☞ [#Me Too 우리가 불편한 이야기] 바로 참여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