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우원식 앞에 놓인 마지막 과제…개헌·추경 어떻게 풀어낼까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내대표 임기 마지막 국회…강경책으로 선회

멀어지는 '유종의 미'…극적 성과 가능성은

뉴스1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뉴스1 © News1 이동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상훈 기자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원내대표 임기는 오는 5월 중순까지다. 이번 4월 국회가 사실상 원내대표 임기 마지막 국회다.

우 원내대표는 자신의 원내대표로서 마지막 임시국회인 4월 국회에서 국회 헌법개정안 마련과 추가경정예산안의 처리 등을 이끌면서 유종의 미를 거두려고 했지만, 방송법 개정안으로 촉발된 4월 국회 파행이 김기식 전 금융감독원장 사퇴와 '민주당원 댓글조작' 의혹으로까지 이어지면서 힘든 '말년'을 보내고 있다.

우 원내대표는 4월 국회 첫날이던 지난 2일 국회 개헌안 합의와 청년일자리 및 지역대책 추경안 처리, 중소영세소상공인들과 비정규직을 위한 입법 등의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로부터 18일이 흘렀지만 19일 현재까지 국회는 여야 합의는커녕 본회의 한 번 제대로 열지 못했다. 야당인 자유한국당은 국회 본청 앞에서 천막을 치고 야외농성에 돌입했다.

당장 개헌만 하더라도 이번 달 초까지만 하더라도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이 릴레이 회동을 가지며 합의점 도출을 위해 노력했지만, 연이은 대형 이슈에 여야 정쟁이 이어지며 흐지부지됐다.

우 원내대표가 국민개헌을 위해 필수라고 강조했던 국민투표법 개정안은 민주당이 데드라인으로 정한 4월 20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4월 국회에서의 통과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

추경안 또한 우 원내대표가 "청년실업률이 1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고, 체감실업률 또한 24%에 이르는 실정"이라면서 "고용위기 지역의 상황 또한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야당의 협조를 구했지만, 이낙연 국무총리의 추경 시정연설마저도 열리지 못했다.

중소영세소상공인들과 비정규직을 위한 입법은 당 을(乙)지로위원회 위원장 출신인 우 원내대표가 원내대표 취임과 동시에 약속한 법안이다.

우 원내대표는 시간이 날 때마다 상가임대차보호법과 유통산업발전법, 생계형적합업종특별법과 건설근로자고용개선등에관한법률 등의 법안을 읊으며 "민생입법 처리에 여야가 합심해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4월 국회 파행으로 이마저도 무산됐다.

임기 마지막까지 국회 파행이 이어지자 우 원내대표는 "몸에서 사리가 나올 것 같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뉴스1

뉴스1 © News1 이동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 원내대표는 과거 정국이 마비될 때마다 강경책보다는 유화책을 통해 야당 설득작업에 나섰다.

지난해 6월 문재인 정부의 첫 추경안에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당시 야당들이 새 정부의 인사 문제 등을 이유로 합의를 거부하자 우 원내대표는 "한국당, 너무하지 않습니까. 국민의당에도 섭섭합니다"라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올 2월에는 권성동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사퇴 문제를 놓고 2월 국회가 공전을 거듭하자, 우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원내대표 정례회동 자리에서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와 국민들을 향해 "집권여당 원내대표로 국민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당시 한국당에서는 법사위 파행의 책임을 상임위를 먼저 퇴장한 민주당에게 돌리고 있던 상황이라, 우 원내대표의 선(先) 사과는 보이콧 국회를 정상화시키는 데에 일조했다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4월 국회 파행 사태를 맞이하고 있는 우 원내대표의 모습은 그 어느 때보다 강경 일변도다. 한국당을 향해 "하다하다 이런 야당은 처음 본다"고 말하는가 하면, "제발 일 좀 합시다"라며 강한 어조로 압박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는 "국민투표법과 추경안을 발목 잡는 것이야말로 국기문란이고 헌정질서 문란"며 야권을 강하게 비판했다.

'강경 대응'이라는 카드를 꺼내든 우 원내대표가 얼어붙은 정국을 뚫고 원내대표 임기의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 지에 정치권, 특히 여권의 관심이 쏠린다.
sesang222@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