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의 수사 의지를 불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찰 수사를 지휘하는 검찰에 대해서도 의심의 눈초리가 쏠린다. 살아 있는 권력을 의식해 눈치보기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 권력에 굴종했던 행태를 답습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떨칠 수 없다.
민주당의 의뢰로 경찰이 수사를 시작해 ‘드루킹’으로 불리는 김모씨 등 민주당원 3명을 구속한 게 지난달 30일이다. 이런 사실은 지난 13일 한 언론이 보도해 알려졌다. 이번 수사는 평창동계올림픽과 관련한 문재인 정부 비판 기사 댓글에 ‘공감’ 반응이 급격히 오른 배후를 캐는 것이어서 국민적 관심이 높았다. 그런데도 경찰은 피의자가 검거돼 구속된 뒤에도 한동안 이를 숨겼다. 통상 관심사건의 경우 피의자가 검거되거나 구속되는 시점에서 공개하는 관행에 비하면 이례적인 일이다. 피의자들이 여당인 민주당 당원이 아니었다면 수사 성과를 과시하기 위해서라도 서둘러 공개했을 것이다.
경찰은 자신들이 확보한 증거를 검찰에 제대로 넘기지도 않았다. 처음 사건을 송치할 땐 정권 실세인 민주당 김경수 의원 관련 자료는 뺐다. 그러고는 김 의원 관련 사실을 언론에서 취재하자 뒤늦게 김 의원의 텔레그램 자료를 검찰에 넘겼다고 한다. 경찰이 과연 이 사건을 제대로 파헤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검찰의 태도도 일반적인 수사상황에 비추어 보면 석연치 않다. 경찰로부터 김씨 등을 송치 받은 검찰은 이들에 대한 별도 조사 없이 17일 기소했다. 그러면서 전반적인 수사는 경찰이 계속 맡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핵심 피의자 신병은 검찰에 넘어가 있는데 직접 나서지 않고 경찰에 수사를 맡기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해 ‘경찰 수사 사안’이라는 방패막이를 걸고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선 검경 수사권 조정을 앞두고 양측이 청와대 앞에서 눈치싸움을 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수사력의 핵심은 권력에서 독립해 공정하게 수사하는 것인데 권력 앞에서 꼬리를 내리면 수사권한 확대에 도움이 될 거라는 시각은 단견이다. 무엇보다 국민부터가 과거 행태를 되풀이하는 수사기관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벌써부터 야당은 검경을 믿지 못하겠다며 특검을 거론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국민의 지지를 받는 수사기관으로 다시 태어나겠다는 포부도 물거품이 된다. 검찰과 경찰은 현실을 냉철히 직시해야 한다.
종합
- [연예]한예슬 집도의 "죄송하게 생각"…의료과실 사과
- [정치]김정은·트럼프, 2020년에 북핵 완전해결 공감대?
- [스포츠]KIA, 안치홍-이범호 공백 이렇게 클 줄이야
- [국제]히잡 쓴 아랍 소녀들이 '한국 아이돌'에 열광하는 이유
- [경제]애플 또 배터리 결함…이번엔 노트북서 팽창 현상 확인
- [정치]검찰 '드루킹 특별수사팀' 꾸리나…주요 쟁점 법리검토 착수
- [정치]안희정, 거물급 변호인 추가 선임…본격 법정공방 예고
- [연예]해외서 다시 태어나는 한류 드라마들
- [스포츠]커쇼까지 무너진 다저스, FA 앞둔 류현진만 믿는다
- [사회]'자사고 폐지' VS '학생인권조례 폐지' VS '고입 폐지'
연예
스포츠
사회
경제
국제
IT
정치
문화
* 최근 30분간 집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차분한 휴일' 전국 흐리고 비…낮 최고 13∼22도
- '박원순-김문수-안철수' 서울시장 3파전…구도대결 점화
- 애플 또 배터리 결함…이번엔 노트북서 팽창 현상 확인
- 성추행조사단, '서지현 미투' 안태근 이번주 불구속 기소
- 검찰 '드루킹 특별수사팀' 꾸리나…주요 쟁점 법리검토 착수
- [SS이슈]한예슬 집도의 "죄송하게 생각"…의료과실 사과
- 英 BBC, "최고였던 손흥민, 제대로 된 일 없는 날"
- 하루 앞으로 다가온 국민투표법 데드라인… 개헌안 종착지는
- 한국GM 실사보고서…"경영정상화 합의하면 2020년 흑자전환"
- 안희정, 거물급 변호인 추가 선임…본격 법정공방 예고
-
[사회]
영혼들은 납골당에 와서야 인연을 얻었다 한겨레
-
[IT·과학]
4백년 주기 혜성이 남긴 '별똥별 우주쇼' 온다 서울신문
-
[경제]
'6년 기다린 사장님 차' 더K9 뉴스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