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영화처럼… 불꽃처럼… 최은희 '92년 드라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은희 별세]

17세때 극단에서 연기 시작

6·25 전쟁통에 납북됐다 탈출… 두번의 결혼과 두번의 이혼

김지미·엄앵란과 트로이카… 김지미와 성춘향 대결서 승리도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분단과 냉전을 온몸으로 겪었다. 평생 두 번 결혼(촬영기사 김학성, 영화감독 신상옥)했고 두 번 이혼했으며, 납북당하고 극적으로 탈출했다. 망명자로 살다가 한국에 돌아와 눈을 감았다. 영화배우 최은희(92)의 삶은 영화보다 극적이었고 불꽃보다 맹렬했다.

전쟁 겪으며 강해진 여배우

1926년 경기 광주에서 태어난 최은희는 열일곱 살이던 1943년 친구 손에 끌려 극단 '아랑'에서 연기를 시작했다. 고전적인 외모의 그는 무대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1947년 영화 '새로운 맹서'로 스크린에 데뷔했고 이때 만난 촬영감독 김학성과 결혼했다. 이후 '밤의 태양'(1948) '마음의 고향'(1949)을 찍으며 스타로 등극했다.

조선일보

1954년 주한 미군 위문 공연을 온 미국 배우 메릴린 먼로와 함께(왼쪽 사진). 1961년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한 장면(오른쪽 사진). /신상옥기념사업회 제공·한국영상자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창 인기를 얻던 그는 6·25전쟁 때 인민군 '경비대 협주단'과 국군의 '정훈공작대'에서 차례로 일해야 했다. 2010년 본지에 기고한 글에서 최은희는 '목포에서 영화를 찍고 있을 때 인민군이 의정부까지 내려왔고, 곧 서울을 삼킬 기세라는 소식을 들었다. 서울에 있는 식구들이 걱정돼 기차를 타고 올라가 6월 27일 서울역에 도착했다'고 썼다. 최은희는 서울에 오자마자 인민군 장교에게 끌려가 북한 경비대 협주단에서 선전 연극에 동원된다. 북한군은 9·28 수복을 앞두고 최은희를 북한으로 끌고 가려고 했다. 평남 순천에서 최은희는 가까스로 탈출했다. 그는 '전쟁을 겪으며 나는 강해졌다. 전쟁 이후엔 대담하고 강해졌다. 나를 자주 폭행하던 첫 남편과 헤어지고, 1954년 신상옥 감독과 결혼했다. 이후론 쭉 영화에만 몰두하며 살았다'고 썼다.

이혼 후 더 뜨겁게

두 번째 남편 신상옥 감독(1926~ 2006)과 만난 건 1953년 다큐멘터리 영화 '코리아'를 찍으면서였다. 자서전에서 최은희는 "짜장면을 앞에 두고 신 감독과 처음 만났고, '간통 혐의 1호'란 세간의 비난을 받으면서 1954년 3월 7일 서울 신당동 빈대투성이 여인숙에서 결혼식을 올렸다"고 썼다. 두 사람은 이후 23년 동안 130여편 영화를 찍었다. '꿈'(1955) '지옥화'(1958) '춘희'(1959) '로맨스 빠빠'(1960) '백사부인'(1960) '성춘향'(196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로맨스 그레이'(1963) 등이 이때 나왔다. '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으로 대종상의 전신인 제1회 국산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기도 했다.

조선일보

납북 당시 영화 촬영 중인 최은희. /엣나인필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기가 치솟으면서 '트로이카'로 불렸던 김지미·엄앵란과의 경쟁도 치열했다. 1961년 신 감독이 35세 최은희를 주인공으로 찍은 영화 '성춘향'은 홍성기 감독이 21세 아내 김지미와 함께 찍은 '춘향전'과 비슷한 시기에 개봉돼 세간의 관심을 모았다. '춘향 대결'이라고 불린 이 경쟁에서 '성춘향'이 서울 관객 38만명을 동원하며 승리했다.

최은희·신상옥 두 사람은 아이 둘을 입양해 함께 키웠지만 이후 신 감독이 배우 오수미와의 사이에 두 자식을 낳았다는 사실을 최은희가 알게 되면서 파국으로 치달았다. 자서전에서 최은희는 '(외도) 사실을 전해들었을 때는 (내가) 아이를 낳지 못한 것이 그렇게 한스러울 수가 없었다'면서 '그러나 지금은 모두 용서했다"고 했다. 1967년 최은희는 신 감독과 이혼했다.

마지막까지 불꽃처럼

1999년 한국으로 돌아와서도 최은희는 쉬지 않았다. 안양신필름예술센터 학장, 동아방송대 석좌교수, 성결대 연극영화학부 명예교수로 후배를 키웠다. 최은희는 "북한에서 천주교에 입교했다"며 "종교를 부정하는 북한에서 천주교를 알게 된 것은 기적이다. 되돌아보면 삶은 이런 기적의 연속이었다"고 했다. 유족은 아들 신정균(영화감독)·상균(미국 거주)씨, 딸 명희·승리씨 등 2남2녀.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발인은 19일 오전 8시. (02)2258-5940

[송혜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