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왜 베트남인가? 속도 내는 한국영화 리메이크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써니’ ‘과속스캔들’ 등 현지판 인기

노인·가족코미디 선호 한국과 통해

‘모래시계’ 합작영화 제작도 추진

중앙일보

베트남 영화 ‘고고 시스터즈’. 한국영화 ‘써니’를 현지 정서에 맞춰 리메이크했다. [사진 CJ E&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에 한국영화 리메이크 바람이 분다. 현재 극장가에 상영중인 작품만 세 편. 한국영화 ‘써니’의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고고 시스터즈’는 3월초 개봉, 한 달만에 베트남 로컬 영화 역대 흥행 5위에 올랐다. ‘과속스캔들’과 ‘엽기적인 그녀’의 베트남판도 각각 지난달 30일, 이 달 6일 개봉했다.

최근에는 송지나 작가의 ‘모래시계’를 한국·베트남 합작영화로 제작한다는 발표가 나왔다. 국내에서 1995년 방영 당시 시청률 60%에 육박했던 드라마다. ‘조폭마누라 2’ ‘네버엔딩 스토리’등의 한국영화도 베트남판이 나온단 얘기가 들려온다.

이런 붐은 3년 전 ‘수상한 그녀’를 리메이크한 베트남 영화 ‘내가 니 할매다’의 흥행 성공이 도화선이 됐다. 영화진흥위원회 윤하 팀장은 “베트남은 ‘부산행’ 같은 한국 블록버스터가 박스오피스 1위를 하는 등 한국 콘텐트에 관심이 큰 시장”이라며 “리메이크에 대한 수요는 ‘수상한 그녀’ 베트남판이 잘 된 이후 커졌다. 특히 가족·휴먼 드라마와 코미디가 주목 받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에는 ‘미녀는 괴로워’의 베트남판도 현지에 개봉했다.

눈에 띄는 건 리메이크 방식. 해외에 판권만 판매하던 종전과 달리 한국 측에서 제작에 적극 참여하는 식이다. ‘고고 시스터즈’는 ‘써니’의 국내 투자배급사 CJ E&M이 베트남 제작사 HK 필름과 설립한 합작회사 CJ HK 엔터테인먼트가 만든 한·베 합작영화다. 원작의 노하우를 살리되, 철저히 현지화하는 것이 초점. ‘써니’가 주인공이 여고생이던 80년대와 중년이 된 현재를 배경으로 삼았다면, ‘고고 시스터즈’는 베트남전이 끝나고 남·북 베트남이 통일되기 직전인 74년과 미국 빌 클린턴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한 2000년이 배경이다. 음악은 70년대 베트남 히트곡을 현대적으로 편곡했다. 지난달 베트남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고고 시스터즈’의 박스오피스 1위를 두고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이 성공 요인”이라고 강조한 발언은 현지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앞서 CJ E&M은 ‘수상한 그녀’를 베트남·중국·일본·태국·인도네시아 등에서 현지 영화사와 손잡고 각국 정서에 맞춰 리메이크하는 방식으로 약 780억원의 박스오피스 매출을 올렸다.

‘과속스캔들’은 국내 공동제작사 디씨지플러스가 리메이크 판권을 베트남 영화사 르다우에 판매했는데, 현지에 진출한 한국 영상 회사 푸르모디티가 리메이크할 한국 콘텐트를 선정하는 기획 단계부터 참여해 제작비 일부를 투자했다. 푸르모디티 김신석 본부장은 “베트남에 사무실을 차리고 5년 전부터 어떤 스토리가 통할지 시장조사를 해왔다”면서 “현재 베트남 제작사 세 곳과 손잡고 현지에서 인기 있었던 한국 드라마의 베트남판 리메이크, 요리 관련 버라이어티 프로 등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모래시계’는 송지나 작가와 드라마 제작사 현무엔터프라이즈 등이 손잡고 베트남 엔터테인먼트 기업 VIE 그룹과 공동 투자 방식으로 리메이크한다. 제작사 측은 “추후 한·베 합작법인을 만들어 영화·드라마·예능 등 문화콘텐트 제작사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라 밝혔다.

왜 베트남일까. 김신석 본부장은 “베트남은 한국영화·드라마가 한국과 거의 동시에 출시될 만큼 한국문화에 익숙한 데다, 아직 자국 작가나 오리지널 스토리가 부족해 한국 콘텐트 리메이크가 활발하다”며 “제작비가 한국의 절반 이하로 낮고, VOD 등 2차 판권 수익도 회수가 잘되는 편”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베트남 영화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는 중이다. 2012년 300개 안팎이던 영화관이 2~3년 사이 500개 이상으로 늘었다. CGV·롯데시네마 등 한국 극장사업자의 진출도 두드러진다. 영진위 윤하 팀장은 “베트남은 노인을 공경하고 가족을 중시하는 정서 등이 한국과 잘 맞아 현지에서도 다른 나라보다 한국 콘텐트를 선호하는 분위기”라며 다만 “최근엔 기획·개발을 시간을 충분히 갖지 않고 급하게 만들어지는 작품도 있는 것 같다”면서 졸속 제작 가능성을 우려했다.

나원정 기자 na.wonjeogn@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