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꽉막힌 지하철 미세먼지 잡는다…기준 신설·자갈 제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3차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

특별관리역사 지정…지하철 객실 기준치 강화

뉴스1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사흘 연속 발령된 지난 1월 18일 서울 지하철 광화문역에서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출근하고 있다. © News1 신웅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박정환 기자 = 지하역사, 터널 등 지하철 기반시설에서 입자 지름이 2.5㎛ 이하인 미세먼지(PM2.5) 관리 기준이 도입되는 등 공기질 관리가 강화된다. 2022년까지 미세먼지 오염도를 13.5% 저감(69.4㎍/㎥→60㎍/㎥)하는 것이 목표다.

환경부는 2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제3차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2018~2022)'을 발표했다고 이날 밝혔다.

◇미세먼지(PM2.5) 기준 신설…특별관리역사 지정

우선 승강장·대합실 등 지하역사 미세먼지 관리체계가 강화된다. 실태조사를 거쳐 올해 상반기까지 미세먼지(PM10) 기준(150㎍/㎥)을 강화하고, 현재 마련돼 있지 않은 미세먼지(PM2.5) 기준을 신설한다.

지하역사는 지하공간의 특성상 자연환기가 어렵다. 지난해 지하역사 미세먼지(PM10) 오염도는 69.4㎍/㎥로 21개 다중이용시설군 중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터널구간은 레일 마모, 자갈·흙 분쇄 등으로 승강장의 3~4배의 고농도 상태를 나타냈다.

오염도가 높고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 역사에 미세먼지 자동측정기기 설치를 내년부터 의무화하고, 지하역사의 오염도(현행 연 1회 측정)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2020년까지 '실내공기질 관리사'를 국가자격으로 신설하고, 주요역사에 채용 의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지하역사 오염정보·교통정보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역사 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고, 환기설비를 최적으로 가동하는 '스마트 공기질 관리시스템'을 도입한다. 대전 정부청사역에 시범 도입하고, 이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역사를 '특별관리역사'로 지정해 관리한다. 수도권 특별관리역사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면 물청소, 필터확인 등 비상조치를 연동 시행한다.

뉴스1

제3차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2018~2022) (환경부 제공)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터널 미세먼지 발생원 제거…지하철 객실 기준치 강화

터널은 미세먼지 발생원을 제거한다. 자갈이 깔린 선로를 콘크리트로 개량하고, 전동차 운행소음 감쇄를 위해 승강장 선로 부분에 설치한 흡음몰탈(시멘트·모래 혼합자재)도 단계적으로 없앤다.

터널 내 물청소를 위한 장비(살수차량·살수배관 등)를 추가로 도입하고, 전 노선 연 1회 이상 물청소도 실시한다.

터널 환기구를 이동하는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 적용 시범사업을 올해 대구 지하철에 추진한다.

지하철 객실은 2019년 상반기까지 현행 미세먼지(PM10) 권고기준(현행 200㎍/㎥)을 환경부령으로 상향조정하고, 기준치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권고사항인 지하철 객실 내 공기질 자가측정을 의무화하고, 측정 횟수도 2년에 1회에서 연 2회로 늘린다.

차량 공기질 개선장치를 내년 중 서울의 모든 지하철 객실에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전국 지하철로 확대한다. 각 도시철도별로 차량 공기질 관리계획을 수립도록 하고, 추진 실적을 주기적으로 점검·평가할 계획이다.
kul@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