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MT리포트]'빚'에 시달렸던 인천…평창은 다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집자주] '하나된 열정'으로 세계인의 가슴을 울린 2018 평창올림픽이 3일후인 25일 막을 내린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기가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성사시킨 '평화올림픽'이지만, 그만큼 '평창 이후'에 기다리고 있는 숙제의 무게도 크다. 스포츠를 넘어 '평창'이 우리 사회에 던지게 될 울림을 짚어본다.

[평창 애프터]④ 경기장 활용 방법 등 아직 확정되지 않아…정부 경제팀 "경제에 긍정적 효과"

머니투데이

올림픽을 흔히 '빛의 향연'이라고 한다. 올림픽은 화려한 불빛과 함께 막을 내린다. 그러나 손익계산서를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올림픽 개최지들은 재정부담을 호소해왔다. 빚 잔치를 이어가고 있는 개최지도 수두룩하다.

재정적으로만 보면 평창 동계올림픽을 바라보는 시선 역시 호의적이지 않다. 경기장 등 올림픽 유산을 관리하는 문제는 늘 돈과 연결된다. 평창의 숙제다. 대회 이후 계산기를 두드리는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21일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와 강원도 등에 따르면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은 모두 13개다. 7개 경기장은 새로 지었다. 나머지 6개 경기장은 개·보수했다. 개·폐회식이 열리는 올림픽 플라자도 별도로 조성했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건설비용은 1조원에 육박한다. 그러나 아직 사후 활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곳도 있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과 하키센터, 정선 알파인 경기장은 관리주체가 정해지지 않았다.

역시 돈이 문제다. 한국산업전략연구원이 강원도의 의뢰로 작성한 용역보고서를 보면 이들 경기장은 적자가 불가피하다. 이들 경기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경우 연간 수십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만 하더라도 연간 운영비가 32억5400만원으로 추정됐다. 운영수익은 연간 10억원이다. 매년 22억5400만원의 적자가 나는 구조다. 강릉 하키센터는 연간 21억4300만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관리주체가 정해지지 않으면 강원도가 이들 경기장을 맡아야 한다. 강원도는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중앙정부가 경기장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정치권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국제행사가 개최지에 재정적 부담을 준 사례는 많다. 2016년 브라질에서 열린 리우올림픽은 외신 추정으로 적자 규모가 60억달러(약 6조5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브라질 경제가 휘청거릴 정도였다.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인천은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후 재정위기를 겪었다. 인천은 경기장을 짓기 위해 1조970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했다. 원금 상환 시기는 2029년으로 예상된다. 말 그대로 빚 잔치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가는 올림픽 유산 관리기금을 조성했다. 캐나다는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 별도의 기금을 조성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초기자본금의 절반씩 내는 형태다.

물론 일각에선 무형의 경제효과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11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는 64조9000억원이다. 유·무형의 경제적 효과를 모두 합산한 수치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참석해 "평창 올림픽은 경제에 있어서도 전 세계적 메시지가 크다"며 "한국 경제에 긍정적 효과가 지대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 평가"라고 말했다.



세종=정현수 기자 gustn99@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