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이상화 스피드·최민정 쇼트 "같은 스케이트여도 '날' 달라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속력이 관건, 스피드스케이팅 "날이 긴게 특징"

쇼트트랙 "곡선구간 안정성 우선, 휘어진 날"

뉴스1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 등 국민적 관심을 받고 있는 빙상경기는 모두 '스케이트화'를 신고 경기를 진행한다. 보기에는 모두 비슷한 스케이트화를 착용한 것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날'이 다르다. '스케이트 날'은 경기 성적에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경기마다 특성을 반영해 디자인된다. 이처럼 스케이트 날에 과학적 원리가 녹아있다.

두 선수가 동시에 출발해 400m둘레의 타원형 대칭 구조 트랙을 도는 '스피드 스케이팅'의 핵심은 종목명 그대로 스피드다. 상대방을 견제하는 쇼트트랙과는 달리 오롯이 선수들은 자신의 속도를 높이는데 주력해야만 한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 한국과학창의재단에 따르면 스피드 스케이팅 스케이트 날은 폭 1~1.4㎜로 쇼트트랙보다 좁고 길이는 길다. 스케이트 날이 길어야만 날이 힘을 고르게 받아 잘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뒤꿈치를 떼도 얼음에 날이 붙어있어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했다. 선수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서다.

'쇼트트랙' 경기는 좁은 곡선 구간을 어떻게 주행하는지가 관건이다. 스피드 스케이팅 코스의 대부분은 직선이지만, 쇼트트랙 코스는 111.12m 타원 트랙 중 곡선 구간이 48%을 차지한다. 따라서 곡선 주행 구간이 많은 것을 고려해 진행 방향에 따라 날이 휘어져 있다.

또 곡선에서 무게 중심을 잘 유지하고자 스케이트 날 두께는 1.2~2㎜로 스피드 스케이트보다 두껍고 단단하다.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 쇼트트랙은 선수들에게 배정된 트랙이 없어 상대 선수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뒤끝은 둥글게 깎여 있다.

음악에 맞춰 빙판 위에서 점프와 회전하는 기술을 선보이는 '피겨 스케이팅'의 스케이트 날에는 톱니모양의 '토'(Toe)가 달렸다. 다양한 방향 전환, 점프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얼음과 마찰을 일으켜 높이 도약할 수 있도록 하는 토가 필요하다. 선수는 토를 이용해 얼음을 파거나, 움직임을 멈추고, 방향을 바꾸고, 뛰어오르기까지 한다.

보통 피겨스케이트 날의 두께는 4~5㎜로 스케이트 종목 중에서 가장 두껍다. 점프 후 착지할 때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서다. 날 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가운데가 약간 움푹 패여 있고 양쪽 끝이 날카롭게 솟아있다. 두 개의 날카로운 부분을 '에지'(edge)라고 하는데 피겨 선수들은 에지를 이용해 얼음 위에서 급격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에지는 아이스하키에서도 사용되지만 피켜스케이트 날만큼 깊지 않다.

빙판 위에서 즐기는 하키 '아이스하키'는 골에 퍽을 다수 득점한 팀이 승리하는 게임이다. 골기퍼를 제외한 플레이어는 빙판 위에서 스피드하게 플레이를 하는데 빠른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아이스하키의 날은 짧고 가늘며 약간 휘어진 형태를 지닌다. 무엇보다 공격, 수비, 골키퍼 등 포지션에 따라 날의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공격수는 다른 포지션의 선수보다 앞쪽 날을 미세하게 변형한다. 무게중심이 약간 앞으로 쏠려 순간적으로 빠르게 얼음을 치고 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수비수와 골키퍼는 평평한 날을 선호하는 데, 뒤로 백 스케이팅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골키퍼 스케이트는 골키퍼만이 신을 수 있도록 날의 양 끝이 막혀 있어 퍽이 통과할 수 없다.
somangchoi@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