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기고]미래지향적인 가축분뇨 처리 방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우리나라 축산업은 국가경제와 농업인의 소득에 많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성장했다. 2016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축산업의 생산액은 농림업 생산액의 38.6%, 19.2조원을 기록했다. 과거 1990년 4조원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가히 '상전벽해(桑田碧海)'라 할 만하다.

하지만 축산업은 가축분뇨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 논란으로 여전히 혐오산업이라는 오명을 받고 있다. 이는 일부 축산농가의 부적절한 가축분뇨 처리 때문으로, 가축분뇨의 처리(발생-유통-처리)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고서는 반복될 수 밖에 없다.

축산농가의 가축분뇨 처리 관리 시스템이 갖춰 진다면 수질, 악취 등의 환경오염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축산업을 혐오산업으로 보는 국민들의 인식도 분명히 개선될 수 있다.

가축분뇨의 통합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 가축분뇨 관련 공공기관, 자원화 시설법인, 가축농가 등 관리기관과 각 단계별 주체들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무엇보다 제도적 지원이나 규제가 선행돼야 한다.

먼저 정부와 가축분뇨 관련 공공기관은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공동자원화시설, 액비유통센터 등의 조직, 사업장 등을 확대하기 위한 자금, 인력 등의 지원제도를 강구해야 한다. 생산된 퇴·액비 등 자원들의 유통망을 확충할 수 있는 지원정책도 만들어야 한다. 또 축산농가의 낙후된 축사시설 등을 현대화하기 위한 자금 지원 등의 정책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공동자원화, 액비유통센터 등과 같은 자원화 시설법인들은 양질의 퇴·액비 생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돼야 한다. 가축분뇨 수거 그리고 퇴·액비 유통을 위한 기계·설비 등의 투자에도 충분한 예산지원이 필요하다.

축산농가에서는 가축분뇨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자원화 시설법인과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 신속한 가축분뇨 수거가 가능하도록 협조해야 한다. 또 축산시설 등을 현대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일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축분뇨의 무단방치, 강·하천하수도 등에 무단방류하는 것과 같은 방식들이 더이상 용인돼서는 안된다.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에서 가축분뇨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노력 외에도 ICT를 활용한 가축분뇨 자원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축산농가의 스마트팜화(化)와 가축분뇨 악취 센서 등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및 민원해소, 축산농가내 가축분뇨량 자동측정장치를 활용한 신속 수거 시스템 도입, 자원화 된 가축분뇨의 유통 이력제화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가축분뇨의 처리 전 과정에 ICT가 도입이 되고,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을 다시 빅데이터화 하는 시스템이 중요하다. 날씨, 지리, 인구밀도별 축산농가의 축사형태, 가축분뇨의 수거주기, 퇴·액비화 및 에너지화를 위한 처리단계별 일정 등 다양한 정보들을 보유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가축분뇨 처리 정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한갑원 축산환경관리원 악취관리지원센터장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