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알뜰폰, 보편요금제 대안으로 급부상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밀어붙이는 요금제 월 2만원대 음성 200분 데이터 1GB 제공 유력
현행 알뜰폰요금제와 비슷.. "도매대가.인지도 개선 등 정책적 뒷받침 가능하다면 충분히 보편요금제 대체"


파이낸셜뉴스

보편요금제와 유사한 알뜰폰 요금제가 대체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4일 서울 시내의 한 알뜰폰 판매점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이동통신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오는 6월 보편요금제 도입을 밀어붙이고 있는 가운데 보편요금제의 대안으로 기존 알뜰폰 요금제를 보완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

보편요금제는 월 2만원대에 음성 200분, 데이터 1GB 제공이 유력시되고 있는데 알뜰폰업계가 이미 이와 유사한 요금제들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용자들이 알뜰폰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알뜰폰업계는 알뜰폰 요금제가 보편요금제와 동일한 목표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통사의 망 임대료 대가로 이통사에 제공하는 도매대가 개선이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이뤄진다면 보편여금제보다 더 나은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알뜰폰에는 보편요금제와 유사한 내용의 요금제들이 다수 출시된 상태다. 세종텔레콤의 요금제는 월 1만9800원에 음성 100분, 데이터 2GB를 제공한다. 알뜰폰 사업자 큰사람의 요금제는 월 2만400원에 음성 200분, 데이터 1.4GB를 지원한다. 인스코비 역시 월 2만3100원에 음성 200분, 데이터 1.5GB를 제공하고 있다.

알뜰폰 요금제에는 이처럼 보편요금제와 비슷한 내용이 이미 구현돼 있지만 이용자들의 인지도가 낮다보니 알뜰폰 요금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알뜰폰 업계에선 정부의 정책적 지원만 뒷받침 된다면 보편요금제보다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과 보편요금제는 국민의 가계통신비 부담을 경감하고자 하는 목표가 일치하는 만큼 알뜰폰 지원 정책이 뒷받침 된다면 보편요금제 대안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며 "인위적인 가격조정 정책 대신 알뜰폰을 활성화해 유효 경쟁자를 늘리는 것이 시장왜곡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통신비 인하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알뜰폰 업계가 바라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도매대가 개선이다.

현재 이통사의 망을 임대해 사용하는 알뜰폰은 3G(3세대) 이동통신과 롱텀에볼루션(LTE)에 따라 별도의 협상을 통해 도매대가를 정하고 있다. 알뜰폰 업계는 수익배분도매대가(RS)의 경우 이통사 요금의 선택약정할인 25%를 적용한 뒤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이 현실에 맞다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6만원 요금제의 경우 지금까지 이통사와 알뜰폰이 각각 50%씩 배분해 3만원을 기준으로 도매대가를 산정하는데 25%(선택약정할인)를 적용하면 2만2500원에 대해 도매대가를 계산해 알뜰폰 사업자가 내는 대가가 줄어드는 방식이다.

아울러 단위당 종량도매대가(RM)를 산정할 때 이통사의 정확한 원가 공개와 함께 이통사의 초과이윤은 제외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종량도매대가는 데이터 경우 현재 1MB당 4.51원으로 책정돼 있는데 이통사들이 원가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4.51원이라는 원가 산정에 이통사들이 가져가는 추가 이윤이 포함돼 있어 이를 제외하면 알뜰폰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알뜰폰 업계는 이같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가능하다면 보편요금제보다 훨씬 나은 요금제를 내놓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보편요금제가 제시하고 있는 제공량은 유지하면서 요금을 낮추거나, 보편요금제와 유사한 2만원대에서 데이터 제공량을 5GB까지 늘리는 방안 등이다. 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도매대가 인하와 알뜰폰 인지 제고 등 정부의 입체적인 지원만 가능하다면 보편요금제보다 나은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다"며 "알뜰폰이 보편요금제의 충분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