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일제 학도병 4천여명 강제동원 실태 드러나…정부보고서 첫 발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쇼생크' 뺨치는 탈출 사례도…김준엽 선생, "배아프다" 행군 빠지고 교관 따돌려

연합뉴스

1944년 1월 학도병 입영을 다룬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행정안전부 제공=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1940년대 일본이 '학도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우리나라의 학생과 청년 4천385명을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구체적인 사실이 정부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행정안전부는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청년의 피해 실태 조사 내용을 담아 정부에서는 처음으로 진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과 고려대가 지난해 10∼12월 함께 진행한 진상조사 결과를 담은 것이다. 학도병 제도 시행 배경, 동원 규모, 부대배치 실태, 생존자 회고록, 일본군 부대 명부 등 학도병 동원 피해 실태를 두루 다뤘다.

행안부는 "지금까지 학도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4천385명으로 추정됐을 뿐 구체적인 자료가 없었다"며 "이번 보고서는 피해 실태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학도병은 전문학교 이상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군인 동원제도로, 1943년 말 기만적인 지원과 전형 절차를 거쳐 동원됐다.

보고서는 학병 동원 대상자로 지목된 총 6천203명 가운데 70%에 해당하는 4천385명이 군인으로 차출됐다며, 이는 실질적인 강제동원이라고 지적했다. 학도병을 거부한 청년들은 군수공장 등지에 보내졌다.

연합뉴스

학도병을 다룬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행정안전부 제공=연합뉴스]



동원된 학도병은 1944년 1월 20일 일본군 부대에 입영 후 훈련을 받고 각지에 배치됐다. 절반가량은 일본, 30%가량은 중국 전선, 나머지는 한반도 내에 잔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진은 당시 '육군특별지원병임시채용규칙'을 비롯해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학도병 출신자 모임 '1·20 동지회'의 회고록, 한국 광복군·독립유공자 명부,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 명부, 일본군 부대 명부 등을 폭넓게 들여다봤다.

그 결과 학도병 가운데 일본군을 탈출해 광복군에 참가한 이가 43명,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은 사람이 71명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 중에는 전선 배치 이후 탈출해 광복군 등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들의 기록도 상당수 포함됐다"며 "앞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

학도병에서 탈출한 고(故) 김준엽 선생을 찾고자 일본군이 작성한 수색도면
[행정안전부 제공=연합뉴스]



조사진이 찾은 일본군 명부에는 목숨을 걸고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의 사례도 자세하게 담겨 있다.

평양 출신 고(故) 김준엽 선생(전 고려대 총장)은 1944년 1월 20일 입영해 중국 안동과 상해관을 거쳐 보병으로 서주에 배치됐다.

그는 초년병 교육을 받던 그해 3월 행군 전날 복통을 호소해 교관으로부터 내무반에 머무를 것을 명령받았다. 그런데 같은 날 "복통에도 행군에 참가하겠다"고 밝히고서는 그날 밤 부대를 빠져나왔다.

다음 날 아침 점호에서 김 선생이 보이지 않자 일본군 경비대장은 대대적인 수색에 나섰다. 인근 경비대도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 나서는 한편, 밀정까지 중국에 보내 김 선생의 뒤를 캐고 나섰다.

하지만 일본군은 결국 그를 찾지 못했고, 서류상으로는 '생사불명'으로 남았으나 김 선생은 한국 광복군에 합류했다.

평안북도 삭주가 본적인 고 장준하 선생도 1944년 7월 중국 서주에서 탈출해 자유의 몸이 된 것으로 기록됐다. 그 역시 광복군으로 활동하다 해방을 맞았다.

행안부는 "꽃다운 청년을 전장에 내몰아 희생시킨 일본이 우리나라에 끼친 강제동원 피해를 사실대로 정확히 밝혀내야 한다"며 "앞으로 진실규명에 적극 나서겠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tsl@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