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해 바뀌면 한 살 더 '한국식 나이'…92% "하나로 통일"

댓글 9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에서는 몇 살이냐는 질문에 답이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나이 한 살 차이에도 위아래를 따지는 게 현실이니까 상황에 따라서 답이 달라지는데 저희가 시민들 의견을 물어봤더니 이제 하나로 통일하자는 의견이 90%가 넘었습니다.

권애리 기자입니다.

<기자>

산후조리원에 나란히 누운 신생아들이지만, 벌써 나이는 1살, 2살로 갈렸습니다. 연말에 태어난 아이도 양력으로 해가 바뀌면 바로 한 살 더 먹기 때문입니다. 이른바 한국식 나이입니다.

이렇다 보니 11, 12월엔 출산이 확연히 줄어들 만큼 연말 출생은 불리하다는 인식이 퍼져 있습니다.

[최기나/분당제일여성병원 홍보직원 : 11월, 12월에는 병실이 좀 비는 편이에요. 며칠 차이로 아기 나이가 한 살 차이가 나게 되니까, 계획 임신을 그렇게 하는 것 같습니다.]

한국식 나이의 연원은 규명된 게 없습니다. 아버지 혈통을 중시해 수정 때부터 사람으로 보는 유교적 사고, 음력에 대한 문화적 애착 등이 섞이며 지금의 나이가 자리 잡았다는 게 통설입니다.

[김태정/서울 양천구 :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우리나라 풍습에 맞는 것 같아서 (한국식 나이가) 괜찮은 것 같아요.]

서열을 중시하는 문화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구본영/서울 마포구 : 한국식 나이 세는 체계가 무너지면, 서로 형이나 누나 같은 호칭도 정하기가 좀 어렵고요.]

법적으론 만 나이가 원칙이지만, 취학연령, 청소년 보호법 등, 올해에서 태어난 해를 뺀 연 나이가 기준이 될 때도 있습니다. 3개의 나이 체계가 공존하는 겁니다.

[대니 제임스/영국인 : (한국식 나이가) 외국인에게는 굉장히 헷갈려요. 그러니까, 태어난 순간에 이미 1살이 돼 있다는 거죠?]

[장장식/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 (한국식 나이는) 음력 설을 기준으로 모든 걸 세어나가는 문화이기 때문에, 현대 양력 위주 생활에서는 굉장히 불편한 감이 없지 않아 있어요.]

20대부터 60대까지 시민 500명에게 물었더니 3가지 나이 셈법이 불편하다며 하나로 통일하자는 응답이 무려 92%를 넘었습니다.

가장 선호하는 나이 셈법은 외국에서도 표준인 만 나입니다. 그다음이 연 나이,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한국식 나이는 선호도가 가장 낮았습니다.

만 나이와 한국식 나이 둘만 놓고 택해 보라는 질문엔, 62%가 만 나이를 선호했습니다. 만 나이 지지자들은 절충형인 연 나이에 대한 거부감도 컸습니다.

[최지현/서울 마포구 : '형 동생', '누나 동생' 이런 게 있으니까 지금 저희끼리 바꾸기는 쉽지 않고, 정부가 주도해서 '만 나이'로 통일을 해 주면 나중엔 정착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세계 유일한 고무줄 나이 셈법, 사회적 논의를 거쳐 이젠 정리할 때가 됐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권애리 기자 ailee17@sbs.co.kr]

☞ [나도펀딩] 전신마비 아빠와 다운증후군 딸, 두 사람의 행복을 응원해주세요
☞ SBS에서 직접 편집한 뉴스 여기서 확인!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