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예상 깬 기름값 급등, 韓 경제 '돌발악재' 급부상(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예상 깨졌다…브렌트유 3년만에 70달러 돌파

50~60달러 전망한 산업계, 경영 차질 불가피

경제계, 배럴당 80弗대 추가 상승 여부 '촉각'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국제유가 급등세가 그야말로 파죽지세(破竹之勢)다. 어느덧 배럴당 70달러대를 찍으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70달러대 유가는 당초 예상을 깬 고공행진이다. 미국 셰일오일이 대체재 역할을 하는 만큼 올라봐야 60달러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기 때문이다. 산업계도 그런 시각으로 경영 계획을 짜놓은 상태다.

이런 탓에 유가 급등이 우리 산업계를 넘어 경제 전반에 ‘돌발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80달러대 얘기도 나오기 시작했다.

◇유가 3년 만에 70달러 돌파

16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 1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3월물은 전거래일 대비 0.56% 상승한 배럴당 70.2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2014년 12월 2일 이후 3년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급등했다. ‘심리적 지지선’을 뚫었다는 평가다.

국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두바이유도 큰 폭 올랐다. 같은날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상업거래소에서 두바이유 현물은 0.74% 오른 67.03달러에 마감했다. 어느덧 70달러가 눈 앞이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 중동지역 원유 수입 비중은 85.9%다. 중동의 유가 지표인 두바이유의 변동이 원유수입국인 우리나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다.

최근 유가 급등은 크게 공급과 수요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합의 △이란 등 일부 산유국의 정정 불안 등 공급 감소 요인이 일단 거론된다. 여기에 최근 전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도 한몫했다. 극심한 겨울 한파도 에너지 소비를 늘렸다.

문제는 그 레벨이다. 배럴당 60달러대를 넘어 70달러대까지 올라설 것이라는 예측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미국 셰일오일의 손익분기점을 기준으로 45~60달러대에서 등락을 거듭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였다.

당장 산업계는 부담을 느낄 것으로 보인다. 당초 경영 계획을 다시 검토하는 게 불가피한 탓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달 15~19일 국내 주요 110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유가가 70달러를 넘을 것으로 본 기업은 전체의 2.1%에 불과했다. 50달러 이상~60달러 미만(74.0%)이 가장 많았고, 그 뒤를 60달러 이상~70달러 미만(15.6%)이 이었다.

예상을 깬 기름값 급등은 당장 기업에 생산원가 부담으로 다가올 전망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이어서 에너지 의존도가 높다. 그런 만큼 중장기적으로 기업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며 “배럴당 60달러 중반대까지는 버틸 만했는데 70달러부터는 힘들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물가 급등 가능성도 있다. 그것도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환율이 급락(원화 초강세)했음에도 석탄·석유제품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4% 올랐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무려 12.9% 급등했다. 한 당국자는 “수요는 주춤한 가운데 비용이 높아져 물가가 상승하는 게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비용 상승 인플레가 발생하면 (한창 반등하고 있는) 세계 경제도 조금씩 둔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데일리

◇70弗서 추가 상승 여부 촉각

최대 관심사는 70달러선에서 더 오를지 여부다. 시장은 일단 큰 폭의 추가 상승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른바 ‘셰일오일 밴드효과’ 때문이다.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이 유가의 상단과 하단을 결정하는 원유시장의 구조 자체는 변함이 없다”며 “유가가 더 오를수록 셰일오일은 더 많이 생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결국 배럴당 60달러 밑으로 돌아갈 개연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심혜진 삼성증권 연구원도 “최근의 상승 흐름이 장기간 지속되기는 어렵다”며 배럴당 70달러를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동 등 일부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불확실성이 큰 만큼 80달러대 추가 상승 가능성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유가가 연내 80달러를 뚫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또다른 시장 관계자는 “지난해 말께 원유 선물시장에 투기적인 순매수가 대규모 유입된 것 같다”며 “전세계 자산시장의 과열 양상이 유가에도 반영된 만큼 예단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