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사설] 동계올림픽 이후 강원도 발전 전략 제시한 매경평창포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을 53일 앞두고 어제 열린 매경 평창포럼은 강원도의 가치를 다시 생각할 수 있도록 만든 행사였다. 특히 동계올림픽 이후 강원도의 발전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조강연을 맡은 육동한 강원연구원장은 "올림픽을 계기로 영서와 영동을 잇는 교통망을 중심으로 6개 관광벨트를 만들고, 횡성군 우천산업단지의 e-모빌리티 클러스터와 춘천 데이터센터 집적단지 등 4차 산업을 육성하면 2040년에는 연간 유동인구 2억명에 달하는 새로운 강원도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장밋빛 전망에 그쳐서는 안 된다.

강원도는 그동안 별로 조명을 받지 못하는 지역이었다. 1970년대 탄광이 개발되며 우리나라의 산업화를 이끌었지만 1989년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이 나온 이후 폐광이 증가했고, 수도권에 맑은 물과 공기를 공급한다는 명분으로 취해진 각종 규제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땅은 경상북도에 이어 두 번째로 넓지만 지역총생산과 인구 비중, 일자리 창출은 하위권에서 맴돌고 있다. 무엇보다 젊은 층이 계속 빠져나가고 있어 이대로 가면 인구 소멸 지역이 될지도 모른다는 말까지 나온다. 그런 만큼 평창올림픽은 강원도의 운명을 결정하는 변곡점이 될 수 있다.

동계올림픽이 남긴 유산을 충분히 활용해 행사가 끝난 뒤 지역경제를 살려 세계적 명소로 부상한 성공 사례는 많다. 199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였던 노르웨이 릴레함메르는 겨울철 레저산업을 육성하며 관광객이 3배 이상 늘었다. 젊은 층이 다시 모여들고 크고 작은 행사가 연중 열리면서 인근 지역까지 활기를 되찾았다. 일본 삿포로와 캐나다 밴쿠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등도 동계올림픽이 열린 이후 관광산업이 발전하며 돈과 사람이 몰리는 곳이 됐다. 이들 도시는 자칫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는 올림픽 시설의 활용 방안을 사전에 철저하게 세웠을 뿐만 아니라 올림픽을 위해 구축된 도로와 철도 등 인프라스트럭처를 새로운 산업을 키우는 발판으로 삼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국내외 관광객 100만명 이상이 참여하는 평창올림픽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강원도를 다시 살릴 절호의 기회다. 매경 평창포럼에서 제시된 발전전략을 바탕으로 동계올림픽 이후 지역경제가 살아난 또 다른 성공 사례로 남기를 기대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