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작업중 노동자 사망’ 온수역 안전감시 외주업체에 맡겼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비좁은 배수로서 감시원 없이 공사

안전협의 늦어지자 공사부터 진행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철 1호선(경인선) 오류동역~온수역 구간에서 작업을 하던 노동자가 숨진 사고가 인재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작업 현장에 열차 감시원을 배치하는 책임마저 공사를 맡은 외주업체에 떠맡겨져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열차 감시원은 수시로 열차가 오가는 선로에서 작업중인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후의 안전 장치라고 할 수 있으나, 이날 사고 현장엔 열차 감시원이 배치되지 않았다. 안전관리조차 외주화하고 있는 현실이 드러난 것이다.

15일 코레일 관계자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시공업체 쪽은 이날 열차 감시원을 따로 배치하지 않았다. 14일 사고는 선로 바로 옆에 물이 빠질 수 있도록 배수로를 만드는 작업 도중 일어났다. 열차가 다니는 선로와 작업 현장 사이 공간이 비좁아 열차 감시원 배치는 필수적이었다.

코레일은 시공업체 쪽에 공사와 관련한 모든 관리를 맡기고 매일 아침 업체 관계자가 작업승인을 위해 갖고 오는 안전 협의 서류에만 의존한 것으로 드러났다. 코레일 관계자는 “안전감시원은 기본적으로 시공업체가 알아서 배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외주업체 노동자들은 작업 현장으로 갈 때 정식 문을 통해 가지 않고 패널로 막아둔 ‘개구멍’ 따위를 이용해 드나든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식의 이동으로 작업자들은 무거운 자재를 옮기는 거리가 대폭 짧아졌던 것으로 보인다. 업체 쪽은 공사 조기 완료 등을 위해 안전 관리에 소홀했고, 이를 감독해야 할 철도청은 손을 놓고 있었던 셈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알았으면 하지 말라고 주의를 줬겠지만 우리도 만날 감시하는 게 아니라 몰랐다”고 말했다.

한편, 사고 당일 외주업체 관리자는 사고가 이미 발생한 뒤에 ‘작업 협의’ 절차를 밟으러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오류동역 관계자는 “통상 아침 7시40분께 협의를 하러 왔는데 이날은 공사 관계자가 다리가 아파서 늦었다며 아침 8시10분이 되어서야 협의를 하러 왔다. 하지만 이미 아침 8시께 작업 인부가 사고를 당했다는 연락을 기관실로부터 무전으로 받은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통상 시공업체가 역장과 함께 철도운행안전협의서를 공동으로 작성하고, 역장은 이를 담당 관제사 쪽에 보내 작업시행 승인을 받아야 공사가 시작된다.

신지민 이지혜 기자 godjimin@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