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밀착취재] 맘편히 울지도 웃지도 못해… ‘감정 콘텐츠’ 찾는 사람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감정 숨기는 사회… 웃픈 ‘직장인 자화상’ / 포장된 모습 선호하는 직종 많아져 / 직장인 92% “감정 숨긴 경험 있어” / ‘분노’ 최다… 억울·서운함 뒤이어 / 의학적으론 일종의 해독 작용 역할

세계일보

연말이 다가오면서 스트레스가 많아졌다는 직장인 김모(33)씨는 요즘 늦은 밤 맥주를 마시며 인터넷의 슬픈 영상을 자주 찾아본다.

취기가 살짝 오른 상태에서 유튜브 등에 올라온 ‘울음 참기’ 영상들을 보면 금세 눈물이 고인다. 가끔 슬픈 생각을 일부러 떠올리며 감정을 더 북받치게 만들기도 한다. 그렇게 한 번 울고 나면 감정을 위로받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김씨는 “어느 순간부터 살면서 슬픈 감정을 느끼거나 눈물을 흘릴 일이 없어졌다”며 “사람들이 웃긴 영상을 일부러 찾아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눈물도 일종의 유희”라고 설명했다.

최근 네티즌들 사이에서 ‘울음’이나 ‘웃음’ 등 특정 감정을 유도하는 이른바 ‘감정 콘텐츠’가 큰 인기다. 포장된 감정을 드러내야 하는 노동이 많아지고 실제 감정을 드러내기 어려운 환경이 강화된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일보

23일 유튜브에서 ‘울음 참기’ 등의 키워드를 입력해 검색한 결과 관련 동영상이 무려 1만7400개나 올라와 있었다.

지난해 업로드된 한 영상은 조회수가 무려 320만에 이를 정도로 인기였다. 이들 영상은 대부분 국내외 광고나 드라마, 영화 속 슬픈 장면, 방송 영상 등을 짜깁기해 5∼10분 남짓으로 재편집한 것들이다.

이들 영상을 보며 울음을 얼마나 참는지를 보여주는 콘텐츠도 부쩍 늘었다. 방송인 유병재씨가 최근 올린 ‘유병재 울음참기 챌린지’는 한 달 사이 200만건 이상의 조회를 기록했다. 이 같은 챌린지 영상은 유튜버와 개인방송BJ(인터넷 방송 진행자)를 중심으로 지난달부터 이날까지 75개가 올라왔다.

네티즌들은 이런 감정 영상을 보며 위로를 받는다고 한다. 유튜브에서 감정 콘텐츠 영상을 자주 찾아본다는 대학생 이모(24·여)씨는“한 번 펑펑 울고 나면 스트레스가 풀리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울음은 실제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게 의학계의 대체적인 설명이다. 즉 감동적이거나 슬픈 영화를 볼 때 눈물을 흘리면 교감신경자극 전달물질의 일종인 ‘카테콜아민’이 배출돼 스트레스 해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큰 소리로 우는 것은 뇌를 ‘리셋’하고 스트레스 해소에 큰 효과가 있다”는 해외 연구도 있다.

울음 이외에 다른 감정 콘텐츠도 인기다. 유튜브에서 ‘웃음 참기’ 등으로 검색한 결과 관련 영상이 10만여개가 올라왔다. ‘사이다(속 시원한) 영상’과 ‘짜증 영상’ 등의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각각 8만여개씩 올라와 있고 ‘기분이 좋아지는 영상’도 4만6000여개나 올라와 있었다.

세계일보

최근 울음이나 웃음 등 감정을 일부러 끌어올리려는 이 같은 모습은 그만큼 일상에서 감정을 드러낼 기회가 없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지난해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성인남녀 24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는 우리가 얼마나 감정을 억누르며 사는지를 잘 보여준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1.7%가 ‘근무 중 자신의 감정을 숨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가장 많이 감추는 감정(복수 응답)은 분노(71.5%)였고, 억울함(58.2%), 섭섭함·서운함(37.9%), 우울감·슬픔(25.7%), 막막함·무력감(15.1%) 등이 그뒤를 이었다.

구정우 성균관대 교수(사회학)는 “상갓집에 가도 우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게 요즘의 현실”이라며 “최근 감동적인 내용으로 눈물샘을 자극하는 콘텐츠가 거의 없어진 데다 바쁜 사회생활 속에서 감정을 시시콜콜 드러내지 않는 게 사회적 덕목이 된 점도 갈수록 감정이 메말라지는 이유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중문화평론가인 이택광 경희대 교수도 “감정을 드러내는 게 ‘민폐’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콘텐츠들을 개별적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창수 기자 winteoc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