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시리아 내전 종식 해법, 지난 5년간 결실 못 맺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사드 정권 존치 문제가 '최대 걸림돌'

뉴스1

지난 3월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반군 장악 지역에 시리아 군의 공습으로 검은 연기가 치솟아 오르고 있다.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 시리아 내전이 지난 2011년 발발한 이후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한 여러 차례의 외교적 시도가 있었지만 번번이 결실을 맺지 못했다.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의 존치 문제를 둘러싼 대립이 걸림돌이 됐다.

그간의 내전 종식 시도를 살펴봤다.

◇"아랍 해법의 종료"

2012년 1월 아랍 외교관들은 아사드의 권력을 연립내각에 이전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아사드 정권은 제안을 거부하면서 기존의 '아랍 해법'의 종료를 선언했고 반군을 응징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제네바 1차"

2012년 6월 열강들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과도 정부를 세우는 방안을 수립했다. 다만 아사드 정부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선 명확한 입장을 정리하지 못했다.

방안 수립에 참여한 국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영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과 아랍연맹, 터키, 유럽연합(EU)이었다.

참가국들은 내전 종식 방안의 궁극적 의미에 대해선 이견을 드러냈다. 미국은 '포스트(post) 아사드' 시대를 열 것이라고 말했지만 아사드 정권을 지지하는 중국과 러시아는 시리아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시리아의 몫이라고 반박했다.

◇"제네바 2차"

2014년 1월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제네바에서 시리아 반군과 정부 간 첫 회담이 열렸다. 회담은 두 차례 열렸지만 성과는 없었다. 2015년 2월 15일 라크다르 브라히미 유엔-아랍연맹 시리아 특사는 대화 중단을 밝힌 뒤 사임했다.

◇"러시아 개입"

2015년 9월 러시아는 시리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러시아의 아사드 정권 지원으로 내전 양상이 뒤바뀌었다. 그전까지 아사드 정권은 서구와 아랍 국가들의 지원을 받는 반군에 밀리고 있었다.

2015년 11월 '국제적시리아지원그룹'(ISSG)이 오스트리아 빈에서 발족했다. 23개국과 여러 다국적 기구가 동참했다.

창립 회원국은 중국과 이집트, EU, 프랑스, 독일, 이란, 이라크, 이탈리아, 요르단, 레바논, 오만, 카타르,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아랍에미리트(UAE), 영국, 유엔, 미국이다. 이후에 아랍연맹과 호주, 캐나다, 일본, 네덜란드, 이슬람협력기구(OIC), 스페인이 동참했다.

ISSG도 과도정부 구성 방안을 내놓았지만 아사드 정권 존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었다. 같은 해 12월 18일 유엔 안보리는 만장일치로 '빈 평화 프로세스'를 지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제네바, 결실 없었던 7차례 회의"

2016년 초 시리아 정부와 반군 세력 간 간접 회담이 유엔 감독 하에 제네바에서 3차례 열렸다. 협상은 과도정부 합의를 둘러싸고 지연됐고 미국과 러시아가 제안한 휴전에 대한 위반 사례도 나왔다.

2017년 3월과 5월, 7월에 4차례 더 간접 회담이 진행됐지만 결과는 없었다. 오는 28일 유엔 중재 하에 제네바에서 새 회담이 열린다.

◇"제네바에 먹구름 드리우는 아스타나"

2016년 말 시리아 정부를 지원하는 러시아와 이란은 그리고 반군을 지지하는 터키는 미국을 밀어내고 평화 프로세스를 놓고 회담을 벌였다. 12월 말에는 휴전을 선언했다.

2017년 1월 3개국은 시리아 정부와 반군 대표단 간 회담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마련했고 이후 7차례 협상을 진행했다.

이들 국가는 시리아 핵심 지역 4곳을 '안전지대'(de-escalation zones)로 설정하기로 했다. 내전 종식은 아니지만 폭력을 줄이는 길이 열렸다.

터키와 이란, 러시아 정상들은 러시아 휴양지 소치에서 오는 22일 회동한다. 러시아는 또 소치에서 "시리아 국민 대화 총회(Congress of Syrian National Dialogue)'를 열겠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allday3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