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카페에서 많이 본 의자" 유럽 휩쓴 혁신의 아이콘 '넘버 포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류 역사와 함께한 나무는 가구 재료로 나날이 주목받고 있다. 특유의 친근함과 자연스러움 때문이다. 목가구는 한 번 인연을 맺으면 다음 세대에 대물림할 만큼 정이 든다. 땅집고(realty.chosun.com)는 정은미 상명대 겸임교수와 함께 목가구가 우리 삶의 안식처로 자리잡기까지 거쳐온 기나긴 여정을 따라가 본다.

[정은미의 木가구 에피소드] ③ 기능과 우아함을 겸비한 스팀벤딩 의자

조선일보

미카엘 토네트의 '넘버 포틴(No.14)' 의자. / ⓒPhotography by Beata Cachovanov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 가구의 역사는 소재에 충실하면서도 실험과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디자이너들이 일궈왔다. 이들은 정적(靜的)이고 변화가 없어 보이는 나무의 근본적인 특성에 대해 개척적인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그 결과 나무의 한계를 뛰어넘는 가구가 탄생했다.

■대량 생산 가구의 아이콘이 되다

조선일보

미카엘 토네트의 '넘버 포틴(No.14)' 사이드 체어와 '넘버 원(No.1)' 암체어. / ⓒPhotography by Beata Cachovanov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업혁명으로 라이프스타일이 바뀐 19세기. 당시의 가구 디자인을 가장 잘 대표하는 디자이너는 미카엘 토네트(Michael Thonet)다. 그는 목재를 구부려 만드는 ‘벤트 우드(Bent Wood)’ 가구를 만들었다. 벤트우드는 까다로운 조각 기술의 대안으로 영국의 윈저체어에서 최초로 사용됐다.

미카엘 토네트는 이를 통해 새로운 구조를 창안했다. 재료의 성질을 이용한 새로운 공정 혁신을 이룬 그는 1859년 수 년간의 실험을 바탕으로 넘버 포틴(NO.14) 의자를 탄생시켰다. 증기를 이용한 곡목 기술인 ‘스팀벤딩 (Steam bending)’ 공법으로 만든 이 의자는 간결한 우아함을 뽐내며 현대 대량 생산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가족 공장에서 성장한 ‘저브뤼더 토네트’

독일의 미카엘 토네트는 1830년 경부터 곡목(曲木) 기술을 실험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합판 곡목을 실험했고, 이때 얻은 기술을 토대로 증기로 찐 원목에 길이 방향으로 가는 띠 모양의 판을 부착하는 금속 스트랩 방법을 통해 원목을 구부리는 기술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조선일보

금형을 이용해 곡목을 제작하는 모습. / 출처: www.ton.eu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1841년 코블렌츠(Koblenz)에서 열린 전시회에 초기 의자 몇 점을 출품했는데, 오스트리아 수상이던 클레멘스 메테르니히(Clemens Metternich)가 그것을 눈여겨 보고 비엔나로 초청했다. 비엔나에 살면서 실험을 계속해 스팀 벤딩 공법으로 특허도 받았다. 1853년에는 아들들과 함께 저브뤼더 토네트(Gebruder Thonet)를 설립했으며 1859년에는 넘버 포틴 사이드 체어가 탄생해 비엔나 왕실에까지 추천됐다. 설립 당시 42명으로 시작한 공장은 1900년대에는 26개의 공장 분점에서 하루에 1만5000점까지 생산하는 회사로 성장했고 유럽과 러시아, 미국에 지사를 두며 발전했다.

조선일보

미카엘 토네트의 '넘버 포틴(No.14)' 의자. / 출처: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Vitra Design Museum) ⓒPhotography by Thomas Dix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

1900년대 벤딩 작업장 모습. 26개의 공장 분점에서 하루 1만5000점까지 생산할 만큼 선풍적인 유행을 가져왔다. /출처: www.ton.eu.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 곳곳 카페에 놓인 ‘비엔나 카페체어’

벤트 우드 의자는 형태뿐만 아니라 공정도 단순해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했다. 가느다란 너도밤나무 원목을 증기로 쪄서 활처럼 구부린 나무 봉 몇 개와 나무를 쌓아 만든 원형의 좌석 프레임으로 부품을 단순화시켰다. 각 부품을 접착제가 아닌 나사로 조립하기 때문에 분해된 상태로 운송할 수 있다. 또 간단한 몇 가지 구성 요소로 다양한 디자인을 구사할 수 있었다. 가벼움과 매력적인 가격, 단순한 부품이 가져온 보관과 운송의 용이함은 전 세계적으로 6000만개 이상 판매되는 원동력이 됐다.

조선일보

1861년 이후에는 1입방미터 안에 36개를 포장해 분해된 상태로 운송 후 현지에서 나사와 볼트로 조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생산했다. / 출처: www.thonet.de ⓒFoto_Credit_Thone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의자는 비엔나의 카페 ‘다움(Daum)’에 소개된 이래 유럽 곳곳의 카페에 배치돼 ‘비엔나 카페체어’라는 닉네임을 얻게 됐다. 기능성과 우아함을 겸비해 카페뿐만 아니라 어느 공간에나 편안하고 어울리는 의자로 산업 시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현재 토네트 의자는 체코의 비스트리체 포드 호스티넴(Bystřice pod Hostynem)의 톤(ton) 컴퍼니 등 여러 회사에서 150년 동안 생산해오고 있다.

조선일보

1873년 지어진 토네트 가족의 빌라 내부는 톤 컴퍼니 쇼룸으로 사용되고 있다. 쇼룸에는 다양한 토네트 체어 컬렉션이 전시됐다. / 출처: www.ton.eu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

정은미 상명대학교 겸임교수


정은미 상명대 겸임교수는 상명대에서 목공예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이탈리아 밀라노 도무스아카데미 대학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했다. 목조형 작품인 얼레빗 벤치 ‘여인의 향기’가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수록됐다. ‘정은미의 목조형 가구여행기’와 ‘나무로 쓰는 가구이야기’를 출간했다. 현재 리빙오브제(LIVING OBJET) 대표로도 활동하고 있다.

[정은미 상명대 겸임교수]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