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주택담보대출 금리 5% 돌파 … 저금리 시대 저문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다음달 금리 인상 가능성

국고채 3년물 금리 2% 넘어서

수출·설비투자 경기 회복세 지속

북핵 등 정치 리스크가 인상 변수

시중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5년)가 5%를 넘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강력하게 시사하면서 채권금리는 이미 오름세를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12월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 블룸버그는 미국 선물시장 트레이더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83.6%로 예측했다. 이런 상황에서 한은이 다음달이나 내년 1월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주택담보대출금리 오름세는 더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일보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2일 금융계에 따르면 KEB하나은행은 23일자 주택담보대출 금리(5년 고정·이후 변동 금리) 기준을 3.827∼5.047%로 20일(3.740∼4.960%)보다 0.087%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시중은행 중 가장 먼저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대에 진입했다. 다른 은행도 5%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국민은행은 23~27일 적용하는 5년 고정금리를 3.52~4.72%로 전주보다 0.11%포인트 인상한다. 신한은행(3.49~4.60%)과 우리은행(3.45~4.45%)과 농협은행(3.58~4.72%)도 5년 고정금리를 전주보다 각각 0.05%포인트씩 올린다.

이미 시장에선 채권 금리가 치솟고 있다. 19일 2.006%로 2년 8개월 만에 처음으로 2%대를 넘어선 국고채 3년물 금리는 20일엔 2.088%까지 올랐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 가격에 따라 결정되는 채권금리가 오르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에도 영향을 준다. 금리가 이렇게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한은의 강력한 금리 인상 신호 때문이다. 이주열 총재는 19일 “금융완화의 정도를 줄여나갈 여건이 어느 정도 성숙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고 말했다. 금융통화위원회 전체 회의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다. 이날 금통위에서는 6년 1개월 만에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도 등장했다. 게다가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3.0%)를 올해 들어 세 번째 상향 조정했다.

시장은 속속 금리 인상 시점 전망을 앞당기고 있다. JP모건은 내년 1분기에서 다음 달로 한국의 금리 인상 예상 시점을 당겼다. 대신증권도 다음달 30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11월 금리 인상 여부를 가를 주요 변수로 시장이 꼽는 것은 경기와 북핵 위험, Fed의 움직임이다. 경기 흐름을 가늠할 첫 번째 관문은 26일 발표될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다. 한은이 예상한 3% 성장을 달성하려면 3분기 성장률 수치가 0.7% 중반은 돼야 한다. 1분기(1.1%)와 2분기(0.6%) 성장률을 감안한 것이다.

이 총재는 “수출과 설비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소비도 완만하게 확대되면서 견실한 성장을 이어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반도체 관련 설비 투자가 늘며 올해 설비투자 증가율은 14%로 예상된다. 새 정부의 추경 집행 효과도 0.1~0.2%포인트 반영됐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으로 인한 0.4%포인트 감소분을 감안하면 한은의 경기 전망은 상당히 낙관적이다.

문정희 KB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 올려 잡은 것은 하반기에만 0.4%포인트의 추가 성장을 가정하는 것으로 경기에 대한 강한 자신감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북핵 위험이라는 돌발 변수 때문이다. 지난 6월 이 총재가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긴축 깜빡이를 켰지만 7월 이후 북핵 위험이 고조되며 발목이 잡혔다. 경제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와도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지면 금리 인상에는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 이슬비 삼성증권 연구원은 “다음달 금통위까지 지정학적 위험이 조기 완화되는 국면이 확인되면 연내 금리 인상의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재닛 옐런 이후 누가 Fed의 키를 잡느냐도 연내 금리 인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부동산 시장의 흐름도 변수다. 문흥철 동부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대책과 가계 부채 대책의 효과가 작다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며 “이주열 한은 총재도 처음으로 금리를 올리고 퇴임(내년 3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