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케이뱅크로 이직한 직원들 노심초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년 후 복귀 옵션 받은 우리은행 과장급 이하 직원들 고민 커져]

우리은행에서 케이뱅크로 이직한 직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4월 출범할 때만 해도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됐지만 은산분리 완화방안이 담긴 은행법 개정안이 지지부진하고 국회에서 인가 특혜 의혹 공세가 이어지면서 성장에 발목이 잡혔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에서 이직한 직원들은 총 20여명으로 우리은행에서 5대1의 경쟁률을 뚫고 케이뱅크에 합류했다. 특히 3년 후 우리은행에 복귀할 수 있는 선택권을 받은 과장급 이하 직원들의 고민이 깊다.

머니투데이

기존 은행에 혁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기대와 목표를 가지고 도전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출범 석 달 만에 카카오뱅크가 등장해 돌풍을 일으키면서 사실상 인터넷전문은행의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9월 어렵게 1000억원 유상증자에 성공했지만 당장 연말에 또 1500억원의 유상증자를 위해 주주들을 설득해야 한다.

주주사 한 관계자는 "지금 국회의 분위기를 봤을 때 은산분리 완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케이뱅크가 대출영업을 계속 하려면 자본금 확충이 필수인데 은산분리 온화가 지연되면서 당초 계획한 KT 주도의 증자가 어려워지면서 직원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금융위원회 국정감사 때 케이뱅크 인가에 대한 특혜 의혹 논란이 이어지면서 분위기는 더욱 악화됐다. 여당 국회의원들은 케이뱅크 인가 당시 케이뱅크의 현재 대주주인 우리은행이 대주주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점과 주주사들이 맺은 주주간 계약을 문제 삼았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를 포함해 일부 학회와 시민단체에서는 케이뱅크의 설립 인가를 취소할 것을 요구하고 나서고 있다.

케이뱅크 한 관계자는 "최근 벌어지고 있는 주위 상황이 직원들의 사기를 저하하고 있지만 기존 계획에 따라 사업을 하나씩 진행할 계획"이라며 "외부 환경에 신경 쓰기보다 주주사들과 관계를 잘 가져가면서 경영에만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동수 기자 firefl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