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한반도 전쟁의 방아쇠]①北 '태평양 수소폭탄 실험', 할 수 있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실제 하면 군사 대응 가능성 높아…사실상 전쟁 상황 돌입

아시아경제

북한이 언급한 태평양 해상의 '수소탄 시험' 가능성을 둘러싸고 국제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한 외무상이 공언한 대로 실제 북한이 실험을 하면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는 행위라는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23일(현지 시각)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태평양 해상에서 역대급 수소탄 시험을 할 수 있다"고 언급한 점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가 포착될 경우 미국 정부가 선제타격 옵션을 검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미치광이'라고 하고 김 위원장은 트럼프를 '늙다리'라고 하는 등 국가 정상들 간의 언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가 포착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선제타격 카드를 꺼내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 정부 고위 관리도 "태평양 상공에서 핵실험이 이뤄진다면 이를 막기 위해 지금까지와는 매우 다른 대응이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지하가 아닌 상공에서의 핵실험은 바람을 통해 인구밀집지역에 방사능 낙진을 퍼뜨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대해 "북한은 지금 태평양에서 거대한 무기를 폭발시키겠다고 하고 있다. 이는 엄청난 재앙을 촉발시킬 수 있다"며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뭔가 할 것"이라고 군사 대응을 시사했다.

리용호의 태평양 해상 수소탄 실험 발언은 지난 21일 김 위원장의 '사상 최고 초강경 대응 조치'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태평양에서 수소탄 실험을 한다면 수소탄을 탑재한 미사일을 태평양으로 발사해 터뜨리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1963년 발효된 부분적핵실험금지조약(PTBT)을 위반하는 것이다. 방사능 낙진 피해 등을 이유로 다른 나라들이 군사 대응에 나서는 충분한 빌미를 제공할 수도 있는 셈이다. 실제로 1958년 미국이 태평양의 존스턴 섬에서 한 핵실험의 경우 1000㎞ 떨어진 하와이의 통신에도 영향을 줬다.

또 방사능 피해 가능성은 북한을 국제사회에서 더욱 고립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태평양에서의 핵폭탄 실험이 남긴 피해는 여러 사례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이 태평양 마셜 제도 비키니섬에서 한 핵실험이다. 미국은 1946년을 시작으로 1958년까지 이곳에서 스무 차례 넘게 핵실험을 했다. 1954년에는 수소폭탄 실험도 이뤄졌다. 그러면서 이곳은 죽음의 섬이 됐다. 미국 의회도 비키니섬 일대의 오염이 제거되는 데 10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등도 북한의 태평양 수소탄 실험 발언을 경계하고 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반도 정세가 여전히 복잡하고 민감하므로 유관 각국이 모두 자제를 유지하고 상호 자극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북한이 실제 태평양 수소탄 실험을 한다면 중국마저도 등을 돌릴 수 있는 것이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