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북 지진, 6차 핵실험 관련 … 백두산 화산 폭발할 수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외 핵·지구과학 전문가 진단

“방사성 피해, 항공 대란 가능성”

동북아에 연쇄 환경 재앙 우려

지난 23일 북한 핵실험장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이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의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은 길주군 풍계리의 만탑산 지하에 갱도를 판 뒤 여섯 차례 핵실험을 했다. 지진이 일어난 곳은 핵실험장에서 5~6㎞ 떨어졌다.

중앙일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엔 산하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의 라시나 제르보 사무총장은 이날 트위터에서 “(6차 핵실험 당일인) 지난 3일 둘째 지진과 23일 두 차례 지진은 3일 인공 폭발에 기인한 지질학적 압력과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3일 인공 폭발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을 뜻한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풍계리 일대는 과거 자연지진이 발생했던 곳은 아니다”며 “6차 핵실험 때문에 일어난 ▶대규모 산사태 ▶핵실험 갱도 붕괴 ▶지구조 응력 배출(지층의 힘이 공간 쪽으로 쏠리면서 일시에 풀리는 현상) 등 셋 중 하나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지구조 응력 배출과 핵실험 갱도 붕괴가 자칫하면 추가 지진 등 동북아시아 연쇄적 ‘재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홍태경 교수는 “6차 핵실험 후 지구조 응력이 백두산 하부 마그마방에 영향을 미치면 화산 분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2월 북한이 대규모 핵실험을 하면 백두산이 폭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백두산은 지난 946년 화산 폭발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부산대 지구과학교육학과 윤성효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대량의 화산재 때문에 동북아 항공 대란이 일어나고, 폭발 후 지진으로 한국의 10층 이상 건물 유리창과 외벽에 큰 피해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핵실험 갱도 붕괴로 갱도 안에 쌓인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나와 피해를 줄 수도 있다. 유출된 방사성 물질은 공기나 물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신원식 전 합참 차장은 “지금까지 북한 핵을 군사적으로만 바라봤지 환경 문제로 살피진 못했다”면서 “지금이라도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주변국인 중국·러시아·일본과 협력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